사람들
희망을 비추는 사람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R52 장영실상
심장혈관흉부외과 강민웅 교수
심장혈관흉부외과 강민웅 교수가 암 수술 전문 수술용 스테이플러 개발하며 국산화에 성공한 공로를 인정받아 최근 ‘2025년 IR52 장영실상’을 받았다. IR52 장영실상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주관하는 상으로서 신기술 제품을 개발 및 상품화해 산업기술혁신에 앞장선 기술개발자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강민웅 교수는 폐암 수술의 권위자로 꼽히는 국내 대표 암 수술 전문가이며, 2015년 교원창업벤처 메디튤립을 설립해, 의료용 선형 스테이플러를 개발하며 국산화에 성공했다.
-

대한말초신경수술학회 우수 논문상
정형외과 차수민 교수 연구팀
정형외과 차수민 교수 연구팀(세종충남대학교병원 이승후 교수, 가인호, 김용환 의료진)이 최근 2025 대한말초신경수술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우수 논문상’을 받았다. 『주관절의 퇴행성 변화로 인한 신경마비와 이로 인해 저하된 수지 기능을 향상시키는 신경 이전술의 유용성(Supercharged end-to-side anterior interosseous nerve transfer to restore the intrinsic motor function in osteoarthritis-induced cubital tunnel syndrome)』에 관해 연구한 결과를 담은 논문이 미국견주관절학회지 『Journal of shoulder and elbow surgery』에 게재되며 그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
대한부위마취학회 학술상 및 우수초록상
마취통증의학과 홍부휘·조유민·오차현 교수
마취통증의학과 임상연구팀 조유민, 오차현, 홍부휘 교수가 최근 열린 대한부위마취학회 제8차 학술대회에서 ‘학술상과 우수초록상’을 받았다. 해당 연구팀은 『어깨 관절경 수술에서 횡격막 보존을 위한 윗줄기 차단술의 효용성(Diaphragm-sparing efficacy of subparaneural upper trunk block for arthroscopic shoulder surgery)』를 주제로 한 연구를 통해 어깨 수술에서 시행되는 ‘부위마취술기의 횡격막 보존 효과’를 규명해 학술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학술상을 받았다. 해당 연구는 『European Journal of Anaesthesiology(IF 6.8)』에 2024년에 게재된 바 있다.
-
아시아 최초 1.1mm 냉동폐조직검사 1,000례 달성
호흡기알레르기내과 박동일 교수
호흡기알레르기내과 박동일 교수가 아시아 최초로 초소형 1.1mm 냉동프로브를 이용한 기관지 내시경 폐냉동조직검사 (Transbronchial Lung Cryobiopsy, TBLC) 1,000례를 달성한 기념으로 최근 싱가포르 국립대학교병원에서 열린 국제 심포지엄에서 관련 임상데이터를 발표하는 등 냉동폐조직검사에 관한 강연을 진행했다. 냉동프로브를 이용한 폐냉동조직검사는 기존 조직검사에 비해 크고 구조 손상이 적은 조직을 확보할 수 있어 진단 정확도가 높아 폐 질환 진단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
중부권 최초 단일공 로봇 종격동 종양 절제술 성공
심장혈관흉부외과 정유영 교수
심장혈관흉부외과 정유영 교수가 9월 9일 중부권 최초로 다빈치 SP 단일공 로봇수술을 이용한 ‘종격동 종양(mediastinal mass) 절 제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했다. 이번 성과는 최소침습 수술 기법의 적용 범위를 확대한 의미 있는 사례로 평가된다. 이번에 시행된 다빈치 SP 단일공 로봇수술은 흉부에 단 하나의 절개창을 통해 로봇 팔을 삽입해 종양을 절제하는 방식이다. 기존 개흉수술은 절개 범위가 넓고 환자의 회복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SP 단일공 로봇수술은 절개 범위가 작고, 환자의 통증과 흉터가 줄어들며 회복 기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로봇 시스템이 제공하는 고해상도 3차원 영상과 정밀한 기구 조작을 통해 좁고 복잡한 흉부구조에서도 안전한 수술이 가능하다.
-

연구논문 SCI급 국제학술지 게재
간담췌외과 김석환 교수 연구팀
간담췌외과 김석환 교수와 외과 최은진 전공의 연구팀이 발표한 『정확성 최적화: 외과의 관점에서 본 생체 간 이식에서의 수술 전 간 용적 측정법 비교 분석(Optimizing Accuracy: A Comparative Analysis of Preoperative Liver Volumetry in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from a Surgeon's Perspective)』 논문이 『International Journal of Surgery(IF 10.1)』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에서는 CT 영상을 기반으로 한 ▲자동 ▲반자동 ▲수동 세 가지 간 용적 측정 방법의 정확도를 체계적으로 비교하고, 각 방법에 최적화된 ‘건조중량 보정 계수’를 최초로 제시했다.
-
국제학술지 논문 게재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정재욱 교수 연구팀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정재욱 교수와 대전성모병원 호흡기내과 박연희 교수 공동연구팀이 폐암 면역항암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인자들과 폐암 정밀의료에 적용 가능한 최신 기술을 소개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Lung Cancer』 최신호에 게재됐으며, 논문 제목은 『폐암 면역항암치료를 위한 종양 거대환경·미세환경의 통합: 오가노이드 및 장기-온-어칩 모델 기반 접근(Integrating Tumor Macroenvironment, Microenvironment and Mechanobiology with Organoid and Organ-on-a-Chip Models for Lung Cancer Immunotherapy)』이다.
-
국제학술지 논문 게재
방사선종양학과 김섭 교수 공동연구팀
방사선종양학과 김섭 교수, 경희대학교 생명나노약학과·생물학과 배진우 교수,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조은경 교수로 구성된 공동연구팀이 방사선 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장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단서를 찾아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Gut Microbes(IF 11.0, SCIE 최상위 Q1 저널)』에 게재됐으며 한빛사 논문으로도 선정됐다. 공동연구팀은 ‘ESRRA(에스트로겐 관련 수용체 알파)’라는 단백질이 장내 유익균 ‘Bacteroides vulgatus’를 유지함으로써 방사선으로 인한 장벽 손상과 염증을 완화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ESRRA가 결핍된 동물은 방사선 조사 후 생존율이 크게 떨어지고 장 조직 손상과 염증 반응이 심해졌다. 반면 ESRRA가 정상적으로 발현되는 경우 ‘B. vulgatus’가 장내에서 풍부하게 유지되어 장벽 회복과 염증 억제를 촉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