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품격·고난도 암진료_대장암 ●
대장암, 알면 이길 수 있다
정의부터 증상, 검사, 치료법까지 대장암에 대해 궁금한 모든 것.
정의
세포로 이뤄진 악성종양이
대장에 생기는 것으로
암 발생 위치에 따라 결장암,
직장암으로 나뉜다.
세포로 이뤄진 악성종양이
대장에 생기는 것으로
암 발생 위치에 따라 결장암,
직장암으로 나뉜다.
대장 구조
• 대장 각 부위 별 암 발생률
맹장·상행결장 25%, 횡행결장 15%,
하행결장 5%, S결장 25%,
직장-S결장 접합부 10%, 직장 20%
원인
• 환경적 요인
· 고지방식, 동물성 지방 섭취
· 섬유소 섭취 부족
· 비만
· 음주, 흡연
• 유전적 요인
1. 유전질환
· 가족성 용종증
· 유전성 비용종증 대장암
2. 대장암이나 대장 선종을 가진
환자의 가족력
• 환경적 요인
· 고지방식, 동물성 지방 섭취
· 섬유소 섭취 부족
· 비만
· 음주, 흡연
• 유전적 요인
1. 유전질환
· 가족성 용종증
· 유전성 비용종증 대장암
2. 대장암이나 대장 선종을 가진
환자의 가족력
증상
• 초기대장암은 증상 없음
• 설사, 변비 등 배변습관의 변화
• 항문에서 피가 나오는
직장 출혈 증세, 혈변
• 배에서 평소에 만져지지 않던
덩어리 만져짐
• 40세 이상의 성인에서
증상이 나타날 경우 검진 필수
• 초기대장암은 증상 없음
• 설사, 변비 등 배변습관의 변화
• 항문에서 피가 나오는
직장 출혈 증세, 혈변
• 배에서 평소에 만져지지 않던
덩어리 만져짐
• 40세 이상의 성인에서
증상이 나타날 경우 검진 필수
확진
대장내시경 검사를 통한
조직검사로 암세포 발견
대장내시경 검사를 통한
조직검사로 암세포 발견
검사
• 직장수지검사 : 검사자가 항문을 통해
손가락을 삽입해 직장부위 종양을
진단하는 것.
• 대변검사 : 대변의 혈액성분을 확인하는
간단하고 경제적인 검사법.
• 대장조영술 : 항문을 통해 작은 튜브를
삽입하고 조영제를 넣어
대장 속 점막 이상 검사.
• 대장내시경 : 항문으로 내시경을
삽입해 대장 전체를 관찰하는 검사.
가장 정확도 높음.
• CT 대장조영술 : 항문에 튜브를
삽입하고 공기를 주입,
CT 촬영으로 영상을 얻고
컴퓨터에서 3차원 영상으로
재구성해 대장 관찰.
• 직장수지검사 : 검사자가 항문을 통해
손가락을 삽입해 직장부위 종양을
진단하는 것.
• 대변검사 : 대변의 혈액성분을 확인하는
간단하고 경제적인 검사법.
• 대장조영술 : 항문을 통해 작은 튜브를
삽입하고 조영제를 넣어
대장 속 점막 이상 검사.
• 대장내시경 : 항문으로 내시경을
삽입해 대장 전체를 관찰하는 검사.
가장 정확도 높음.
• CT 대장조영술 : 항문에 튜브를
삽입하고 공기를 주입,
CT 촬영으로 영상을 얻고
컴퓨터에서 3차원 영상으로
재구성해 대장 관찰.
치료
• 0기 : 대장내시경 치료
• 1기 : 수술로 암 조직을 떼어낸 후
재발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지속적인 검사
• 2기 : 결장암의 경우 수술 후 항암제 투여
경우에 따라 항암제 치료
• 3기 : 수술 후 항암제 치료
직장암의 경우 항암제와 더불어
수술 전 또는 후에 방사선 치료 병행
• 4기 : 환자가 감당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수술, 항암제, 방사선 치료 등을 병행
• 0기 : 대장내시경 치료
• 1기 : 수술로 암 조직을 떼어낸 후
재발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지속적인 검사
• 2기 : 결장암의 경우 수술 후 항암제 투여
경우에 따라 항암제 치료
• 3기 : 수술 후 항암제 치료
직장암의 경우 항암제와 더불어
수술 전 또는 후에 방사선 치료 병행
• 4기 : 환자가 감당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수술, 항암제, 방사선 치료 등을 병행
수술
암을 포함해 전이 가능성이 있는
림프절을 광범위 절제
• 개복 : 혹이 클 때, 혹이 주위 장기를
침범했을 때, 이전 수술로 복강 내
유착이 심할 때 개복하여
정확히 해당 부위를 절제
• 복강경 수술 : 배에 5~10㎜ 정도의
작은 절개창을 뚫고 복강경 카메라와
수술 기구 등을 넣어 수술
*대장암의 80% 복강경 수술
• 로봇 수술 : 복강경 수술과 같은
몇 개의 작은 절개창을 통해 집도의가
로봇 수술기를 조종, 손 움직임을 체내의
초소형 기구로 전달해 수술한다.
암을 포함해 전이 가능성이 있는
림프절을 광범위 절제
• 개복 : 혹이 클 때, 혹이 주위 장기를
침범했을 때, 이전 수술로 복강 내
유착이 심할 때 개복하여
정확히 해당 부위를 절제
• 복강경 수술 : 배에 5~10㎜ 정도의
작은 절개창을 뚫고 복강경 카메라와
수술 기구 등을 넣어 수술
*대장암의 80% 복강경 수술
• 로봇 수술 : 복강경 수술과 같은
몇 개의 작은 절개창을 통해 집도의가
로봇 수술기를 조종, 손 움직임을 체내의
초소형 기구로 전달해 수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