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품격·고난도 암진료_간암, 담도암, 췌장암 ●
간암, 담도암,
췌장암
알면 이길 수 있다
정의부터 증상·검사·
치료법까지 간암, 담도암,
췌장암에 대해
궁금한 모든 것.
정의
• 간에 생기는 악성 종양
• 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간세포에서 발생한 암종
• 간에 생기는 악성 종양
• 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간세포에서 발생한 암종
원인
만성 B형 간염
(국내 간암 환자 중 60~70%),
만성 C형 간염, 간경변증,
음주, 연령(40세~)이
발생 원인으로 지목된다.
만성 B형 간염
(국내 간암 환자 중 60~70%),
만성 C형 간염, 간경변증,
음주, 연령(40세~)이
발생 원인으로 지목된다.
증상
• 간암의 상당수가 증상이
없음
• 오른쪽 윗배에 덩어리가
만져지거나 통증
• 기존 간질환의 악화
• 황달, 식욕 부진, 피로,
체중 감소
• 간암의 상당수가 증상이
없음
• 오른쪽 윗배에 덩어리가
만져지거나 통증
• 기존 간질환의 악화
• 황달, 식욕 부진, 피로,
체중 감소
간, 담도, 췌장의 구조

검사
간암 위험인자가 있는 사람은
정기적으로 간암 표지자 검사 및
초음파 검사를 시행한다.
검사 결과 이상 소견이 있을 경우
CT나 MRI 등을 추가로 시행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다.
이를 통해서도 결과가 애매할 땐
혈관 조영술, 조직검사를 실시한다.
간암 위험인자가 있는 사람은
정기적으로 간암 표지자 검사 및
초음파 검사를 시행한다.
검사 결과 이상 소견이 있을 경우
CT나 MRI 등을 추가로 시행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다.
이를 통해서도 결과가 애매할 땐
혈관 조영술, 조직검사를 실시한다.
치료
• 초기
암 발생 부위를 포함한 절제술이 보편적 절제술이
보편적
• 중기(간 기능이 나쁠 경우)
- 간이식 : 타인의 간을 이식하는
수술로, 간 상태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담당 전문의와 상담 필요
- 화학색전술 :
암세포 생존‧성장에 필수적인
간동맥을 막는 방법으로 환자가
절제술을 버티지 못하거나
다발성 간암일 경우 시행
- 고주파열치료 :
세포에 50~60℃의 열을 가해
단백질을 변성, 괴사하도록 하는
치료법으로 암 직경이
3㎝ 이하거나 개수가 3개 이하,
혹은 절제가 어려울 경우 시행
- 알코올주입술 :
종양 내부에 고농도(95%)의
에탄올을 주입하는 방법이며
암 조직이 응고돼 소혈관에
생긴 핏덩어리로 암세포를 파괴
• 초기
암 발생 부위를 포함한 절제술이 보편적 절제술이
보편적
• 중기(간 기능이 나쁠 경우)
- 간이식 : 타인의 간을 이식하는
수술로, 간 상태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담당 전문의와 상담 필요
- 화학색전술 :
암세포 생존‧성장에 필수적인
간동맥을 막는 방법으로 환자가
절제술을 버티지 못하거나
다발성 간암일 경우 시행
- 고주파열치료 :
세포에 50~60℃의 열을 가해
단백질을 변성, 괴사하도록 하는
치료법으로 암 직경이
3㎝ 이하거나 개수가 3개 이하,
혹은 절제가 어려울 경우 시행
- 알코올주입술 :
종양 내부에 고농도(95%)의
에탄올을 주입하는 방법이며
암 조직이 응고돼 소혈관에
생긴 핏덩어리로 암세포를 파괴
담도암 정의
담관 상피세포에서 발생한 암
담관 상피세포에서 발생한 암
위험인자
아직 확실히 밝혀진 원인은 없지만, 20~30%의 환자가 담도 결석을 동반한다.
또한 만성 간담도 내 기생충 감염, 담관 확장을 동반한 선천성 기형, 경화성 담관염, 만성 궤양성 대장염, 오래된 담관 결석‧선종, 직업적 노출(고무나 자동차 공장에 근무하는 자), 흡연, 비만 등이 있다.
아직 확실히 밝혀진 원인은 없지만, 20~30%의 환자가 담도 결석을 동반한다.
또한 만성 간담도 내 기생충 감염, 담관 확장을 동반한 선천성 기형, 경화성 담관염, 만성 궤양성 대장염, 오래된 담관 결석‧선종, 직업적 노출(고무나 자동차 공장에 근무하는 자), 흡연, 비만 등이 있다.
증상
초기에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나
체중
감소, 피로, 구토,
황달,
식욕 부진의 증상이 나타난다.
초기에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나
체중
감소, 피로, 구토,
황달,
식욕 부진의 증상이 나타난다.
치료
담도암의 1차 치료법은 절제술이다.
그러나 담도의 광범위한
절제가 가능한 경우는
전체 환자 중 40~50%에
불과하다.
수술이 불가능하다면 암세포의
성장을 막는 항암화학요법과
암의 전이를 막는 방사선치료를 시행한다.
담도암의 1차 치료법은 절제술이다.
그러나 담도의 광범위한
절제가 가능한 경우는
전체 환자 중 40~50%에
불과하다.
수술이 불가능하다면 암세포의
성장을 막는 항암화학요법과
암의 전이를 막는 방사선치료를 시행한다.
췌장암 정의
췌장에 생긴 암세포로 이루어진 종양 덩어리
췌장에 생긴 암세포로 이루어진 종양 덩어리
위험인자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다른 암에 비해 암 전 단계의 병변
역시 뚜렷하지 않다. 췌장암이 발생하기
쉬운 요인에는 45세 이상의 연령, 흡연,
두경부‧폐‧방광암의 과거력,
오래된 당뇨병, 지방 함유가 높은 음식 섭취,
만성 췌장염, 일부 유전질환(췌장암 환자 약 5~10%) 등이 있다.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다른 암에 비해 암 전 단계의 병변
역시 뚜렷하지 않다. 췌장암이 발생하기
쉬운 요인에는 45세 이상의 연령, 흡연,
두경부‧폐‧방광암의 과거력,
오래된 당뇨병, 지방 함유가 높은 음식 섭취,
만성 췌장염, 일부 유전질환(췌장암 환자 약 5~10%) 등이 있다.
증상
복통, 식욕 부진, 체중 감소, 황달 등
복통, 식욕 부진, 체중 감소, 황달 등
치료
• 초기
암 위치에 따라
절제술이 시행되고,
환자 상태에 따라
췌장 인접 혈관을
합병·절제하는 수술을 추가
• 중기
일부 수술이 가능하며 후에
방사선치료‧항암화학요법을 시행
• 후기
- 생명 연장과 고통을 줄여 주는
치료를 주로 실시
- 환자 상태에 따라
항암화학요법 시행
• 초기
암 위치에 따라
절제술이 시행되고,
환자 상태에 따라
췌장 인접 혈관을
합병·절제하는 수술을 추가
• 중기
일부 수술이 가능하며 후에
방사선치료‧항암화학요법을 시행
• 후기
- 생명 연장과 고통을 줄여 주는
치료를 주로 실시
- 환자 상태에 따라
항암화학요법 시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