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품격·고난도 암진료_안종양

안종양
알면 이길 수 있다

정의부터 증상·검사·
치료법까지 안종양에 대해
궁금한 모든 것

정의부터 증상·검사·
치료법까지 안종양에 대해
궁금한 모든 것

 정의 
안구 자체에 생긴 종양뿐 아니라
눈꺼풀(안검), 안구, 안구 주변 조직에
생긴 종양
 정의 
안구 자체에 생긴 종양뿐 아니라
눈꺼풀(안검), 안구,
안구 주변 조직에 생긴 종양
 증상 
• 안구에 생기는 종양
    - 맥락막 흑색종
       · 비문증, 광시증, 시력 및 시야 장애 등
          일반적이고 비특이적인 증상

    - 망막모세포종
       · 백색 동공
       · 홍채 색깔의 변화
       · 사시, 주시 장애
       · 안구 통증 및 주변 염증
       · 안구 돌출
       · 시력 감퇴 및 소실

• 눈꺼풀에 생기는 종양
    - 바닥세포암(기저세포암)
       · 중심부의 궤양을 동반한 결절

    - 편평세포암
       · 초기에 궤양을 나타내며 통증이 없음

• 안구에 생기는 종양
    - 맥락막 흑색종
       · 비문증, 광시증, 시력 및
          시야 장애 등 일반적이고
          비특이적인 증상

    - 망막모세포종
       · 백색 동공
       · 홍채 색깔의 변화
       · 사시, 주시 장애
       · 안구 통증 및 주변 염증
       · 안구 돌출
       · 시력 감퇴 및 소실

• 눈꺼풀에 생기는 종양
    - 바닥세포암(기저세포암)
       · 중심부의 궤양을 동반한
          결절

    - 편평세포암
       · 초기에 궤양을 나타내며
          통증이 없음

 원인(위험요인)
• 맥락막 흑색종, 바닥세포암, 편평세포암
    - 환경적 요인 : 과도한 자외선 노출

• 망막모세포종
    - 유전적 요인 : 종양억제 유전자인
       RB1 유전자의 결손이나 이상 발생
       (전체 망막모세포종 발생의 약 40%)
 원인(위험요인)
• 맥락막 흑색종, 바닥세포암,
     편평세포암

    - 환경적 요인 : 과도한 자외선
       노출

• 망막모세포종
    - 유전적 요인 : 종양억제
       유전자인 RB1 유전자의
       결손이나 이상 발생
       (전체 망막모세포종 발생의
       약 40%)
 진단 
• 도상 검안경 검사
    - 동공을 산동한 후 안구 내부를 검사하여
       종양의 위치, 크기, 색소 침착 정도,
       모양 등을 파악
    - 망막모세포종을 초기에 진단할 수 있는
       유일한 검사법

• 안구초음파
    - 초음파의 파형을 통해 종양의
       외부 전이나 두께, 높이를 파악
    - 두께 3mm 이상인 맥락막 흑색종의 경우
       초음파로 95% 이상을 진단할 수 있음

• 형광안저촬영
    - 특수한 형광조영제를 팔에 정맥주사한 후
       망막 혈관 촬영
    - 망막 내 종양의 위치 및 크기를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음

• CT, MRI, PET
    - 방사선 검사를 통해 종양의 외부 전이나
       안구 내 위치 등을 자세히 알 수 있음
 진단 
• 도상 검안경 검사
    - 동공을 산동한 후 안구 내부를
       검사하여 종양의 위치, 크기,
       색소 침착 정도, 모양 등을 파악
    - 망막모세포종을 초기에
       진단할 수 있는 유일한 검사법

• 안구초음파
    - 초음파의 파형을 통해 종양의
       외부 전이나 두께, 높이를 파악
    - 두께 3mm 이상인 맥락막
       흑색종의 경우 초음파로
       95% 이상을 진단할 수 있음

• 형광안저촬영
    - 특수한 형광조영제를 팔에
       정맥주사한 후 망막 혈관 촬영
    - 망막 내 종양의 위치 및
       크기를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음

• CT, MRI, PET
    - 방사선 검사를 통해 종양의
       외부 전이나 안구 내 위치 등을
       자세히 알 수 있음
 치료 
종양의 종류나 위치, 크기에 따라
가장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 냉동응고술
    종양을 얼려서 파괴하는 방법
    종양의 크기가 작고 망막주변부에
    위치하고 있으면 시행

• 레이저 광응고술
    종양의 크기가 작은 경우나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후 잔존하는 종양을
    제거하기 위해서 주로 사용

• 온열요법
    레이저 광응고술에 사용되는 레이저보다
    침투력이 좋고 더 긴 파장의 빛을
    이용한 방법으로 작거나 중간 크기의
    종양에 사용

• 광역학치료
    빛에 예민한 약을 정맥주사한 후 시행

• 방사선 치료
    - 외부 방사선 조사
       양성자나 헬륨 이온 등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법
       특히 양성자의 경우 방사선을
       충분하게 조사할 수 있고 그 경계가
       분명하여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 한다는 장점이 있음

    - 근접 방사선 치료
       (방사선 동위원소 삽입술)
       방사성 물질을 안구 종양 뒤쪽의
       공막에 고정시켜 삽입,
       방사선이 종양에 도달하게 하는 방법

• 종양절제술
    종양이 안구의 앞쪽에 위치하고 크기가
    비교적 크지 않은 경우에 시도
    종양만을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수술에 따른 합병증 발생 위험이
    비교적 높아 제한적으로 사용

• 안구적출술
    종양이 너무 커 안구의 기능뿐만 아니라
    뇌 등으로의 전이가 우려될 때
    근치적으로 안구 제거

• 화학요법
    횡문근육종과 같이 항암제에 반응이
    비교적 좋은 경우 또는 수술로
    완전히 제거가 어려운 경우
    수술 전후에 항암제로 치료 성공률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 사진
 치료 
종양의 종류나 위치, 크기에 따라
가장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 냉동응고술
    종양을 얼려서 파괴하는 방법
    종양의 크기가 작고
    망막주변부에 위치하고
    있으면 시행

• 레이저 광응고술
    종양의 크기가 작은 경우나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후
    잔존하는 종양을 제거하기
    위해서 주로 사용

• 온열요법
    레이저 광응고술에 사용되는
    레이저보다 침투력이 좋고
    더 긴 파장의 빛을 이용한
    방법으로 작거나 중간 크기의
    종양에 사용

• 광역학치료
    빛에 예민한 약을
    정맥주사한 후 시행

• 방사선 치료
    - 외부 방사선 조사
       양성자나 헬륨 이온 등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법
       특히 양성자의 경우
       방사선을 충분하게
       조사할 수 있고 그 경계가
       분명하여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 한다는
       장점이 있음

    - 근접 방사선 치료
       (방사선 동위원소 삽입술)
       방사성 물질을 안구 종양
       뒤쪽의 공막에 고정시켜
       삽입, 방사선이 종양에
       도달하게 하는 방법

• 종양절제술
    종양이 안구의 앞쪽에 위치하고 크기가
    비교적 크지 않은 경우에 시도
    종양만을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수술에 따른 합병증 발생 위험이
    비교적 높아 제한적으로 사용

• 안구적출술
    종양이 너무 커 안구의 기능뿐만 아니라
    뇌 등으로의 전이가 우려될 때
    근치적으로 안구 제거

• 화학요법
    횡문근육종과 같이 항암제에 반응이
    비교적 좋은 경우 또는 수술로
    완전히 제거가 어려운 경우
    수술 전후에 항암제로 치료 성공률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 사진
• 종양절제술
    종양이 안구의 앞쪽에 위치하고
    크기가 비교적 크지 않은
    경우에 시도
    종양만을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수술에 따른
    합병증 발생 위험이 비교적
    높아 제한적으로 사용

• 안구적출술
    종양이 너무 커 안구의 기능뿐만
    아니라 뇌 등으로의 전이가
    우려될 때 근치적으로 안구 제거

• 화학요법
    횡문근육종과 같이 항암제에
    반응이 비교적 좋은 경우 또는
    수술로 완전히 제거가 어려운 경우
    수술 전후에 항암제로
    치료 성공률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 사진
눈의 구조
피부
눈의 구조
피부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