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의의 의술

류마티스 관절염의
약물치료를 이야기하다

만성 전신성 염증질환인 류마티스 관절염은 소아부터 70대 노인까지 남녀 모두에서 발병하지만, 특히 40~50대 여성에서 가장 빈번하다. 관절을 보호하는 연골이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해 닳아서 뼈와 인대에 손상을 일으키는 퇴행성 관절염과 달리, 류마티스 관절염은 면역체계에 이상이 생겨 우리 몸을 지켜야 할 면역세포가 건강한 관절을 공격해서 파괴하는 자가면역질환이다. 류마티스 관절염의 약물치료는 염증조절과 면역조절을 통해 통증을 완화하고 질병의 진행을 조절하여, 관절의 손상을 막아 신체장애를 줄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류마티스내과 유인설 교수에게 류마티스 관절염의 약물치료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본다.

사진

진료전문분야 |
관절염, 루푸스, 통풍,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성 질환, 근골격계 초음파 및 주사

진료시간 |
류마티스내과 : (오전)월, 목, 토(본관) (오후)수
류마티스클리닉 : (오전) 금

학력 |
충남대학교 의과대학원 석사, 박사

경력 |
충남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충남대학교병원 류마티스내과 전임의
충남대학교병원 류마티스내과 임상 부교수

학회활동 |
대한내과학회 정회원
대한류마티스학회 정회원
대한류마티스학회 총무위원

사진

면역세포가 관절을 파괴하는 자가면역질환

류마티스 관절염은 만성 전신성 염증질환으로 대칭성, 다발성의 관절염과 이로 인한 관절의 손상 및 변형이 생기는 질환이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나이와 상관없이 소아부터 70대 노인까지 남녀 모두에게 발병할 수 있지만, 특히 40~50대 여성에서 가장 많이 발병한다.
관절을 보호하는 연골이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해 닳아서 뼈와 인대에 손상을 일으키는 퇴행성 관절염과 달리, 류마티스 관절염은 면역체계에 이상이 생겨 우리 몸을 지켜야 할 면역세포가 건강한 관절을 공격해서 파괴하는 자가면역질환이다.
류마티스 관절염의 약물치료는 염증조절과 면역조절을 통해 통증을 완화하고 질병의 진행을 조절하여, 관절의 손상을 막아 신체장애를 줄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질병 초기에 빨리 적절한 치료를 한다면 관절의 변형과 전신적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가 강조된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는 보통 소염진통제라고도 부르는데, 염증을 가라앉혀주고 통증을 줄여주지만 질병의 경과를 바꾸거나 관절의 손상을 막아주지는 못한다.
부작용으로는 위장 장애나 궤양, 출혈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특히 고령의 환자는 조심해야 하며, 신장이 나쁘거나 고혈압, 심장병이 있는 경우에도 조심해서 사용해야 한다. 혈소판 기능도 억제시키므로 수술 전에는 중단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s)는 스테로이드제의 한 종류로 강력하고 효과적인 염증억제제로서 짧은 시간 내에 염증과 통증을 감소시키지만 부작용이 많다. 대표적 부작용으로 고혈압, 당뇨, 소화성궤양, 골다공증 등이 있다. 하지만 본격 치료제인 항류마티스 약물은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수개월이 걸릴 수도 있기 때문에 이 기간에 소량의 스테로이드제를 적절히 사용하여 통증과 염증을 줄일 수 있다.

고전적 항류마티스 약물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의 기본이 되는 항류마티스 제제는 즉각적인 증상의 완화보다는 질병 자체의 조절을 목적으로 사용되며, 작용기간이 수주에서 수개월이 걸릴 수 있다. 흔히 사용되는 고전적인 항류마티스 제제들(<표1>)은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하이드록시클로로퀸(hydroxychloroquine), 설파살라진(sulfasalazine) 등이 있으며, 효과가 없는 경우 레플루노마이드(leflunomide)나 칼시뉴린(calcineurin) 억제제인 타크로리무스(tacrolimus)가 사용된다. 항류마티스 제제들은 단독사용 또는 병합요법이 고려될 수 있다.
메토트렉세이트는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항류마티스 약물로 처음에는 항암제로 개발된 탓에 환자들이 약물에 대한 거부감을 갖기도 하지만, 항암제로 사용되는 경우보다 훨씬 적은 용량을 사용한다. 그리고 류마티스 관절염에 강력한 치료효과를 보여 가장 중요하면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약제이다. 다른 약과 달리 1주일에 한 번 복용한다.

임신준비 중이라면 이 약은 기형을 유발 하거나 유산을 시킬 수 있으므로 남녀 모두 임신 3개월 전에는 중단하는 것이 좋다.
보통 우리가 말라리아 약이라 부르는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은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전신 홍반 루푸스에서 많이 사용된다. 최근에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에도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효과는 약하고 또 늦게 나타나지만 비교적 부작용이 적고 임신 시에도 사용이 가능하여 심하지 않은 류마티스 관절염에서 많이 사용된다. 이 약을 복용하면 드물게 피부가 검어지거나 눈에 영향을 줄 수도 있어 장기간 사용할 때는 안과 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다.
설파살라진 역시 다른 약에 비해 효과가 약하지만, 하이드록시클로로퀸에 비해 효과가 빨리 나타나고 역시 임신 시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레플루노마이드는 메토트렉세이트와 유사한 작용기전과 효과를 갖는다. 주로 메토트렉세이트에 부작용이 있거나 효과가 없는 경우에 사용한다. 다만 체내에 2년 이상 잔류할 수 있고, 임신 시 기형을 유발할 수 있어 임신을 계획 중인 여성에서는 주의가 필요하다.

<표1> 고전적 항류마티스 약물

약물 용량 부작용 평가
메토트렉세이트
(methotrexate)
10~25㎎/주 경구 혹은 피하주사
(엽산 1㎎/일 병용 필요)
오심, 설사, 구내염, 탈모, 피로감,
간기능이상, 골수기능저하, 감염, 간질폐렴,
Pregnancy category X
CBC, 간기능 및 신기능 검사,
바이러스성 간염항체, 흉부 X선
하이드록시클로로퀸
(hydroxychloroquine)
200~400㎎/일 경구
(≤6.5㎎/㎏)
오심, 설사, 두통, 발진,
망막변화, 근병증
매년 시야 및 망막 검사
설파살라진
(sulfasalazine)
첫 용량: 500㎎ 경구 일 2회
유지용량: 1,000~1,500㎎ 일 2회
오심, 구토, 두통, 백혈구감소증,
용혈성 빈혈(G6PD deficiency)
CBC, 간기능 검사
레플루노마이드
(leflunomide)
10~20㎎/일 탈모, 설사, 간기능이상, 골수기능저하,
감염, Pregnancy category X
CBC, 간기능 검사,
바이러스성 간염항체
타크로리무스
(tacrolimus)
1~3㎎/일

출처: 류마티스학 2판, 대한류마티스학회

생물학적 제제

생물학적 약제(<표2>)는 생물체에서 유래된 물질이나 생물체를 이용하여 생성시킨 물질을 함유한 의약품으로 자가면역질환의 발생에 관여하는 특정 표적물질, 즉 관련 사이토카인 및 세포를 억제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생물학적 제제는 고전적 항류마티스 제제에 반응이 없는 경우에 사용하게 되며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현재까지 승인된 생물학적 제제는 크게 항사이토카인 억제제, T세포 억제제, B세포 억제제로 나눌 수 있다.

표적 합성 항류마티스 약물

표적 합성 항류마티스 약물(<표2>)은 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염증반응을 차단하고자 사용되며, 반감기가 짧다. 생물학적 제제들과 달리 경구복용이 가능하며 제조비용을 낮추는 것이 가능하다는 큰 장점이 있다.
또한 생물학적 제제와 거의 유사한 효과가 있으며, 국내에서는 2015년 메토트렉세이트 등에 효과가 없는 중등도 이상의 활성도를 보이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단독용법 또는 항류마티스 제제 병용요법으로 승인되었다. 사진

<표2> 생물학적 제제와 표적 합성 항류마티스 약물

약물 용량 부작용 평가
·생물학적 제제 (공통) 시작 전
인터페론 감마 유리 검사
(Interferon-γ releasing
assay), PPD 피부반응검사,
흉부 X선
항TNF 제제 ·Infliximab: 3㎎/㎏ Ⅳ 0, 2, 6주,
이후 8주마다 주사
·Etanercept: 50㎎ SQ 주 1회,
혹은 25㎎ SQ 주 2회
·Adalimumab: 40㎎ SQ 2주 1회
·Golimumab: 50㎎ SQ 월 1회
·Certolizumab: 400㎎ SQ 0, 2, 4주,
이후 200㎎ 2주
주사반응, 간기능이상,
감염(결핵, 세균, 진균),
약제유발성
전신홍반루푸스, 신경학적 이상
주사반응, 간기능 검사
Abatacept <60㎏: 5,00㎎
60~100㎏: 750㎎
>100㎏: 1,000㎎
Ⅳ 0, 2, and 4주, 이후 4주마다 Ⅳ
혹은 125㎎ SQ 주 1회
두통, 오심, 감염 주사반응
Rituximab 1,000㎎ Ⅳ 0, 2주
6개월 이상의 간격을 두고 주사
발진, 열, 감염, 주사반응,
혈구감소, B형 간염악화
CBC, 바이러스성 간염항체,
주사반응
Tocilizumab 4~8㎎/㎏ Ⅳ 월 1회
혹은 162㎎ SQ 2주 1회
감염, 주사반응, 간기능 이상,
고지혈증, 혈구감소
CBC, 간기능 검사
·표적 합성(targeted synthetic) DMARD
Tofacitinib 5㎎ 경구 일 2회 상기도 감염, 설사, 두통,
기타 감염, 간기능 이상,
고지혈증, 중성구감소
시작 전
인터페론 감마 유리 검사
(Interferon-γ releasing assay),
PPD 피부반응검사,
흉부 X선
Baritcitinib 4㎎ 경구 일 1회 위와 동일 위와 동일

출처: 류마티스학 2판, 대한류마티스학회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