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지기 테마에세이

생애주기와 질환_노년기의 건강

노년기 삶의 질을 위협하는
고관절 외상

정형외과 황정모 교수

갑자기 기온이 떨어지고 찬 바람이 불며 겨울이 성큼 다가왔다. 추운 환경에서는 신체 대사가 원활하지 않고 몸도 경직되어 다양한 질환의 위험이 증가하는데, 이에 더해 길이 얼어 미끄러워지면 낙상으로 인한 사고가 빈번해진다. 노년층은 하지 근력이나 민첩성, 균형 감각 등이 떨어져 부상의 위험이 높으며, 특히 뼈가 약해지는 ‘골다공증’이 동반된 노년층의 경우 다양한 원인에 의한 낙상으로 고관절 외상에 주의가 요구된다.

사진

고관절 외상의 원인

고관절은 골반과 대퇴골 사이에 있는 관절로 흔히 엉덩관절이라고도 불리며, 신체에서 가장 큰 관절 중 하나로 상·하체의 균형을 잡아주고 보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외상으로 인한 손상이 대부분이며 실내에서의 넘어짐 같은 낙상으로도 빈번하게 발생 하는데 빙판길이 형성되는 겨울철엔 그 빈도가 더욱 증가하게 된다.

증상과 합병증

고관절이 골절되면 극심한 통증과 함께 다리를 움직일 수 없어 일상생활이 멈춰버리며 기본적인 활동뿐 아니라 잠깐 서 있는 것도 힘들어진다. 골절로 인해 병상에 누워있는 기간이 길어질 때는 욕창, 혈전증, 심장 기능 저하 등이 생기기 쉽고 면역력이 약한 노년층은 폐에 가래가 차면서 폐렴 같은 각종 합병증에 노출될 수 있다. 이 때문에 고관절 외상은 자칫 합병증으로 인해 사망원인이 될 수도 있는 무서운 부상이다.

고관절 외상의 치료와 예방 방법

고관절 골절이 발생하면 치료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골절 부위를 금속물을 이용하여 고정한 후 골유합을 얻는 내고정술과 손상된 대퇴골두 부위를 제거하고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인공관절 치환술이 있다. 이러한 치료 방법의 결정은 골절 부위 그리고 골절의 양상에 따라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수술만큼이나 중요한 수술 후 관리에도 주의를 요구한다. 고관절 골절 환자의 치료 목표는 ‘빨리 움직이고, 걷게 하는 것’에 있기에 수술을 받았다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환자 의 의지로 걷기 위한 노력이 들어가야 합병증 없이 건강하게 회복할 수 있다.

낙상은 빙판길뿐 아니라 집안에서도 쉽게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실내에서 걸려서 넘어질 수 있는 물건들은 치우고, 화장실 바닥이 미끄러우면 미끄럼 방지 매트를 까는 것이 좋겠다. 무엇보다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하체운동과 함께 평소 칼슘 및 비타민 D 제제나 뼈를 튼튼하게 할 수 있는 식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운동은 골형성을 자극하고 허벅지 근육을 강화할 수 있는 가볍게 걷기나 실내 자전거를 추천한다.

사진

사진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