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지기 테마에세이

의료 인사이트

사진

사진

유비퀴티네이션은 대표적인 단백질의 번역 후 변형(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과정으로서 타깃 단백들의 안정성 및 다양한 세포 신호전달 과정을 조절하고 있다. 염증반응에서도 세포막에 존재하는 염증수용체의 구성단백들과 세포질에 존재하는 NF-kB의 상위 키네이스인 IKK complex를 결합함으로써 NF-kB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중요한 매개 수단으로 작용한다(그림). 이러한 유비퀴티네이션 시스템은 염증신호전달 상위 경로 수준에서 NF-kB의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기존 NF-kB 억제제들의 비특이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표적치료제의 타깃으로 주목받고 있다.

약리학교실 허강민 교수 연구실에서는 유비퀴티네이션 편집효소로 알려진 A20에 결합하는 신규 인자들을 발굴했으며 또한 NF-kB 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의 여러 소분자 화합물을 동정했다. 이러한 신규 후보물질들의 세포 내 분자적 기능 및 NF-kB를 경유하는 선택적 염증 신호전달 조절 기전을 분석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유비퀴티네이션 매개의 새로운 염증 및 면역질환 치료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사진

사진

그림) 염증수용체에서 유비퀴티네이션-매개 NF-kB 신호전달 과정 모식도

(출처: Iwai K. Trends Cell Biol. 2012 Jul;22(7):355-64.)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