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

사람들

충남대학교병원

  • 사진

    국제학술지 논문 게재

    재활의학과 황창호 교수

    재활의학과 황창호 교수와 충남대학교 의과대학과 공동으로 집필한 『중추신경계 질환에서의 치료제 경비 표적전달법(Transnasal targeted delivery of therapeutics in central nervous system diseases)』 논문이 SCI급 과학 학술지인 『프런티어즈 인 뉴로사이언스(Frontiers in Neuroscience, IF 5.152)』에 게재됐다. 해당 논문은 임상의학뿐 아니라 다양한 기초·융합학문에 대한 조기 경험을 통하여 의대생들의 의과학자 양성을 목적으로 도입된 2021년 충남의대 비교과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충남의대 1, 2학년생 6명이 재활의학과 황창호 교수의 지도하에 예과 1, 2학년부터 2년간 직접 주제를 선정, 자료를 수집, 영문저술, 투고 학술지 선정 및 투고까지 진행한 논문으로 의대 1, 2학년생이 SCI급 제1 저자 역할을 하며 출간까지 완료한 뜻깊은 사례이다.

  • 사진

    국제 학술대회 최신 연구결과 선정

    간담췌외과 김석환 교수

    간담췌외과 김석환 교수가 최근 ‘제35회 일본 간담췌외과 국제 학술대회(The 35th Meeting of Japanese Society of Hepato-Biliary-Pancreatic Surgery)’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라이징 스타(Rising Star)로 선정됐다. 이번 일본 간담췌외과 국제 학술대회는 처음으로 젊은 의학자 중 한· 일 양국 간담췌외과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최신 연구결과를 보이는 의사를 라이징스타로 선정하여 발표를 진행했다. 김석환 교수는 이날 ▲생체 간이식 수술 시 인체 피부조직을 이용한 중간 간정맥 재건의 임상시험 결과 ▲간·담도 질환과 관련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 ▲간에서 발생하는 암종의 오가노이드 배양 방법 개선 결과를 발표하며 임상뿐만 아니라 기초과학 분야에서의 최신 지견에 대해 강연을 펼쳤다.

  • 사진

    국제학술지 게재

    응급의학과 이성혁 전공의

    응급의학과 이성혁 전공의(지도교수 강창신)의 연구논문이 SCI급 저널『Diagnostics』의 최근 호에 게재되었다. 이번 게재된 논문은『심정지 후 통합 치료를 받는 환자에서 초기 치료 단계에 서 양호한 신경학적 예후 예측을 위한 예비 예후 예측(Preliminary prognostication for good neurological outcomes in the early stage of post-cardiac arrest care)』로 심정지 후 통합 치료를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24시간 이내에 진정 약물에 영향을 받지 않는 인자들을 측정하여 초기 단계에서 신경학적 예후를 예측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했으며, 이를 통해 연명치료의 부적절한 중단을 최소화할 방법을 제시했다.

세종충남대학교병원

  • 사진

    국제학술지 논문 게재

    심장내과 오진경 교수

    심장내과 오진경 교수와 서울아산병원 송재관 교수 연구팀의 공동연구인 『중등도의 대동맥판막 협착증 환자에서 압력 회복 현상을 이용한 불일치 등급 감소의 인종에 따른 유용성비교; Effect of Race on Pressure Recovery Adjustment for Prevention of Aortic Stenosis Grading Discordance』 연구 논문이 심장학 분야 SCI급 국제학술지인 『Heart(인용지수 : 7.365)』 최근 호에 게재됐다. 오진경 교수는 “이번 연구는 그동안 단일기관에서는 시행하기 어려웠던 동양인과 서양인의 인종에 따른 차이를 비교했다는 점에서 임상적 의의가 크다”며 “향후 대동맥판막 협착증의 중등도 결정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불일치 등급의 경우에 이번 연구에서 제시한 압력 회복 현상을 적용할 경우 등급 조정과 치료 결정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말했다.

  • 사진

    녹내장수술 100례 달성

    안과 김진수 교수

    안과 김진수 교수가 최근 녹내장수술 100례를 달성했다. 녹내장은 주로 높은 안압으로 인해 시신경이 손상되고 시야가 좁아지는 질환으로, 이미 손상된 시신경이나 시야를 살릴 수 있는 치료법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추가적인 시신경 손상이나 시야 이상의 진행을 막기 위해서는 안압을 낮추는 것이 가장 중요한 치료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김진수 교수는 전통적인 녹내장수술뿐 아니라 젠(XEN) 녹내장 스텐트나 아이스텐트(iStent)와 같은 최소침습 녹내장수술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는 전통적인 녹내장수술에 비해 안압 하강 정도는 비슷하거나 다소 떨어질 수 있지만, 수술 시간과 회복이 빠르고 수술 합병증 발생률이 적은 장점이 있다.

  • 사진

    국제학술지 논문 게재

    재활의학과 심정우 물리치료사

    재활의학과 심정우 물리치료사(주저자)의 『Effects of High-Frequency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Combined with Motor Learning on Motor Function and Grip Force of the Upper Limb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a Subacute Stroke』 연구 논문이 국제학술지『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th(논문인용지수 4.5, Q1)』에 게재됐다. 심정우 물리치료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뇌졸중 후 재활치료 시 고빈도 반복 경두개 자기자극 치료와 운동학습 치료를 병행하면 제한됐던 상지 운동기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악력이 떨어진 환자는 저빈도 보다 고빈도 반복 경두개 자기자극 치료를 시행하면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사진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