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난치성질환 이야기

크론병
원인과 치료 전략

소화기내과 강선형 교수

얼마 전 유명 가수가 크론병에 의한 소장출혈로 입원을 하여 크론병이 검색순위에 오르기도 했었다. 1932년 크론 박사가 이 병에 대해 보고한 이후 서양에서는 많은 발생을 보고한 바 있고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발생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장내 면역 시스템의
문제로 ‘추측’

크론병의 발생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현재까지는 장내 면역 시스템의 문제로 생각하고 있다. 정상 장의 면역 체계는 우리 장내에 정상적으로 살고 있는 장내세균 및 외부 유입 물질(음식물 등)에 대한 면역 반응을 조절하여 염증 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있다가 우리 몸에 병원균이 침입하게 되면 이를 조절하기 위해 백혈구 등의 염증 세포를 장 점막에 불러들이게 된다. 이를 장의 이러한 면역 억제 기전을 면역 관용(immune tolerance)이라고 부르는데 이런 면역 관용이 손상되어서 정상 장내세균이나 외부 유입 물질에 과도한 면역 반응이 발생하여 별다른 원인이 없이도 장에 염증을 일으키게 된다. 주로 유전적 소인을 가진 사람이 외부 환경적 영향을 받아서 이러한 변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짐작하고 있고 아마도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의 영향도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주로 장에서
다양한 증상 일어나

증상으로는 주로 복통, 설사, 혈변, 발열을 호소하며 염증이 진행하는 경우 장과 장, 혹은 장과 피부나 방광 사이에 샛길이 발생하는 누공을 형성하여 피부나 소변으로 고름이 새기도 하며 장과 장사이의 유착이 발생하여 복부에 덩어리가 만져지기도 한다. 염증반응이 오래도록 지속되면 이로 인해 장의 협착이 발생하여 장마비가 발생하기도 하며 심한 염증의 경우 장의 천공을 일으키기도 한다. 장의 염증 때문에 장벽에 궤양이 발생하면 장출혈을 일으키기도 한다. 크론병은 주로 15-30세에 호발하는 것으로 되어 있고 중장년층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다가 60세 이후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위·대장 내시경, 소장
촬영으로 진단

크론병의 진단은 임상 양상과 혈액 검사, 내시경 검사, 복부 CT와 MRI 등 다양한 상황을 종합하여 임상 의사가 판단하게 된다. 대장 뿐 아니라 입부터 항문까지 전 소화관을 침범할 수 있기 때문에 위 내시경과 대장 내시경, 캡슐 내시경 등 내시경 검사가 유용하며 소장만을 침범하는 경우 협착이 있을 경우 내시경 검사가 제한되기 때문에 CT 나 MRI를 이용한 소장 촬영이 선호되기도 한다.

장 염증 줄이는
면역 억제 요법

치료방법은 장의 염증을 줄이기 위해 주로 면역 억제 요법을 사용하고 있다. 크론병은 기본적으로 완치의 개념이 없다. 약을 끊으면 다시 재발할 수 있기 때문에 평생 약을 복용해야만 염증을 잘 조절할 수 있다. 염증이 조절되어 없어진 상태를 관해라고 하는데 이 상태를 유지하여 누공이나 천공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여 정상적인 삶의 질을 유지해 주는 것이 주목적이다. 장의 염증이 오래 지속되면 정상 세포에서 비정상적인 세포가 만들어져서 대장암 발생이 증가할 수 있는데 크론병에서도 역시 이런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장내 염증을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겠다. 스테로이드나 아미노살리실산은 항염증작용을 통해 관해 유도를 일으키는 약물이고 관해를 유지시켜 주는 약물로는 아자치오프린(azathioprine)이나 메토트렉세이트(methotraxate)같은 약물이 도움이 된다. 또 최근에는 크론병 발생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TNF-α라는 물질을 억제하는 생물학적 제제(biologic agent)가 도입이 되어 크론병의 자연 경과를 우호적으로 바꾸는데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생물학적 제제는 크론병의 관해의 유도 및 유지에 효과적이어서 현재 각광을 받고 있고 여러 종류의 생물학적 제제가 사용 및 개발 중이다.사진

크론병 인구 10만명 당 발병률 (단위:명)

사진

출처 : Adapted from Inflamm Bowel Dis 2008;14:542-9

사진

22세 남자 환자가 혈변을 주소로 내원하였고
대장 내시경상 대장의 진행 방향의 궤양이 관찰되어 크론병으로 진단하였다

소화기내과 강선형 교수
소화기내과 강선형 교수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학사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석사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의학박사
충남대학교 병원 인턴
충남대학교 병원 내과 전공의
충남대학교 병원 소화기내과 전임의
(현)충남대병원 소화기내과 조교수

진료전문분야
역류성 식도염 및 기타 식도염, 식도암,
위암, 소화성 궤양, 기능성 소화불량증,
위염, 양성 위종양, 대장 용종, 대장암,
염증성 장질환(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
과민성 장 증후군, 감염성 장염,
위장관 출혈, 치료 내시경, 기타 소장 질환
진료시간
(오전)화,금 (오후)목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