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품격·고난도 암진료_위암 ●
위암, 알면 이길 수 있다
정의부터 증상, 검사, 치료법까지 위암에 대해 궁금한 모든 것.
정의
위암의 대부분은 위 점막 세포에
생기는 악성종양을 일컬으며,
위선암이라고도 한다.
위암의 대부분은 위 점막 세포에
생기는 악성종양을 일컬으며,
위선암이라고도 한다.
위 구조

0기 : 5년 생존율 100%
1기 : 5년 생존율 85~95%
2기 : 5년 생존율 70%
3기 : 5년 생존율 30%~50%
4기 : 5년 생존율 10%

원인
• 환경적 요인
· 헬리코박터균 감염
· 저장 기간이 오래된 신선하지
않은 음식의 섭취
· 염분이 많은 음식 섭취
· 질산염(음식보존제)이
많이 함유된 음식 섭취
· 흡연
• 유전적 요인
위암의 발생은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
2~3배 증가
1. 세 명의 가족 위암 확진
(한 명은 두 명의 직계가족)
2. 적어도 2대에 걸쳐 위암이 발생
3. 이들 중 한 명은 45세 이전에
위암 진단을 받아야 함
• 환경적 요인
· 헬리코박터균 감염
· 저장 기간이 오래된 신선하지
않은 음식의 섭취
· 염분이 많은 음식 섭취
· 질산염(음식보존제)이
많이 함유된 음식 섭취
· 흡연
• 유전적 요인
위암의 발생은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
2~3배 증가
1. 세 명의 가족 위암 확진
(한 명은 두 명의 직계가족)
2. 적어도 2대에 걸쳐 위암이 발생
3. 이들 중 한 명은 45세 이전에
위암 진단을 받아야 함
증상
• 주로 일반적 소화기 증상을 보이나
증상이 없는 경우도 많음
• 상복부 불쾌감, 통증, 소화불량
• 진행 시 체중 감소, 기력 감퇴
• 구역 시 투약 후 호전 없이 구역이 재발
• 주로 일반적 소화기 증상을 보이나
증상이 없는 경우도 많음
• 상복부 불쾌감, 통증, 소화불량
• 진행 시 체중 감소, 기력 감퇴
• 구역 시 투약 후 호전 없이 구역이 재발
확진
위내시경과 조직 검사를 통해
암세포 발견
위내시경과 조직 검사를 통해
암세포 발견
검사
• 위내시경 : 위암의 존재 확인,
위 내의 퍼진 정도, 암의 침윤 깊이 등을
진단할 목적으로 시행
• 상부 위장관 조영술 : 공기와 바륨으로
위내 점막의 미세한 요철을
관찰하는 검사. 수술 방법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됨
•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CT) :
수술 전 간전이, 림프절 전이,
종양의 인접 장기 직접 침윤 등을
조사하기 위해 시행
• 내시경적 초음파 검사(EUS) :
조기위암의 침윤 깊이 및
주위 림프절 존재 유무 등
수술전 확인 목적으로 시행
•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PET-CT) :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한 검사로
암세포의 대사적 특성을 이용하여
암세포의 전신 전이 여부를 확인
• 혈액학적 검사 : 여러 종양 표지자들을
수술 전과 수술 후 혈액검사를 통해
수치의 변화를 확인. 재발 판정 등에 이용
• 위내시경 : 위암의 존재 확인,
위 내의 퍼진 정도, 암의 침윤 깊이 등을
진단할 목적으로 시행
• 상부 위장관 조영술 : 공기와 바륨으로
위내 점막의 미세한 요철을
관찰하는 검사. 수술 방법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됨
•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CT) :
수술 전 간전이, 림프절 전이,
종양의 인접 장기 직접 침윤 등을
조사하기 위해 시행
• 내시경적 초음파 검사(EUS) :
조기위암의 침윤 깊이 및
주위 림프절 존재 유무 등
수술전 확인 목적으로 시행
•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PET-CT) :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한 검사로
암세포의 대사적 특성을 이용하여
암세포의 전신 전이 여부를 확인
• 혈액학적 검사 : 여러 종양 표지자들을
수술 전과 수술 후 혈액검사를 통해
수치의 변화를 확인. 재발 판정 등에 이용

치료
• 0기 : 상피내암, 위암의 전구 병변을
내시경 점막절제술로 제거,
병변이 크면 수술로 절제
• 1기 : 수술로 위암 병소를 절제 후
정기적 추적 검사
• 2기 · 3기 : 표준 치료인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 시행, 면역증강요법 병행
• 4기 : 완화수술, 고식적 수술 항암화학요법,
필요 시 방사선치료 보조적 시행
• 0기 : 상피내암, 위암의 전구 병변을
내시경 점막절제술로 제거,
병변이 크면 수술로 절제
• 1기 : 수술로 위암 병소를 절제 후
정기적 추적 검사
• 2기 · 3기 : 표준 치료인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 시행, 면역증강요법 병행
• 4기 : 완화수술, 고식적 수술 항암화학요법,
필요 시 방사선치료 보조적 시행
수술
병소의 완전한 절제 후 적절한 재건 수술로
식생활 및 영양 섭취가 가능하도록 한다.
증상완화 수술 혹은 고식적 수술
• 내시경 점막하 절제술 : 림프절 전이가
없는 일부 조기위암 환자에게 적용되는
방법
• 복강경 수술 : 조기위암 및 일부 진행암을
복강경 및 기구를 사용하여 수술
• 유문부 보전 위 절제술 : 십이지장과 위의
경계 부분인 유문 부위 기능을 보존해
음식물 배출 기능을 유지하고 소화액의
역류를 막는 수술, 일부 조기위암에 가능
• 미주신경 보존 위 절제술 : 림프절 전이가
없는 일부 조기위암에 가능. 미주신경을
절제하지 않는 시술.
병소의 완전한 절제 후 적절한 재건 수술로
식생활 및 영양 섭취가 가능하도록 한다.
증상완화 수술 혹은 고식적 수술
• 내시경 점막하 절제술 : 림프절 전이가
없는 일부 조기위암 환자에게 적용되는
방법
• 복강경 수술 : 조기위암 및 일부 진행암을
복강경 및 기구를 사용하여 수술
• 유문부 보전 위 절제술 : 십이지장과 위의
경계 부분인 유문 부위 기능을 보존해
음식물 배출 기능을 유지하고 소화액의
역류를 막는 수술, 일부 조기위암에 가능
• 미주신경 보존 위 절제술 : 림프절 전이가
없는 일부 조기위암에 가능. 미주신경을
절제하지 않는 시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