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연구보고서

신경세포 보다 수십 배 많은
‘신경아교세포’ 연구

연구과제 Glioscience
연구책임 김동운 교수 | 연구센터(교실) 해부학교실, 뇌과학연구소

신경과학은 다양한 분야가 있지만, 저희 연구실은 아교세포(glia)의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고 있습니다.
신경과학은 영어로 neuroscience이지만 최근에 신경세포(neuron)보다 수십 배 숫자가 더 많은 신경아교세포(glial cells)의 기능에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이며, 이를 가르켜 glioscience라고 합니다.

연구배경
신경아교세포는 정상 신경전달과정에서 시냅스 조절과 같은 해부생리학적 기능뿐만 아니라, 많은 뇌질환에서 다양한 인자를 분비하여 신경세포를 손상시키거나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사진

연구내용
저희 연구실은 정상뇌에서는 뇌내 노폐물이 뇌정맥으로 제거되는 과정에서 별아교세포(astrocyte)가 관여하는 glymphatics system을 연구하고 있으며, 더불어 신경병증성통증(neuropathic pain)이나 뇌전증(epilepsy)
, 만성외상성뇌병증(chronic traumatic encephalopathy)등과 같은 뇌질환에서 미세아교세포(microglia)의 역할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정상 및 다양한 뇌질환에서 신경아교세포의 기능을 조절하기 위하여 나노입자(nanoparticle)을 활용한 뇌내 약물전달체를 이용한 유전자치료법을 개발 중입니다.

연구결과
보다 실질적인 기초-임상 공동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국가과제를 활발히 수주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초임상 공동논문이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습니다. 사진

*본 연구실은 현재 연구교수 1인, 박사과정 3인, 석사과정 3인이 활발히 연구하고 있으며, 마취통증의학과·소아과·류마티스내과 임상교수님과 공동연 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주1회 저널미팅과 임상교수님이 함께 참여하는 데이터미팅이 주1회 정기적으로 개최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임상적 문 제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연구실에 대한 정보를 알고 싶으면 홈페이지(http://visnu528.blogspot.kr)를 방문하여 주 시기 바랍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