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품격·고난도 암진료_폐암1 ●
폐암,
알면 이길 수 있다
정의부터
증상, 검사, 치료법까지
폐암에 대해 궁금한 모든 것.
폐의 구조
가슴우리 안쪽 좌우에 각각 1개씩 위치하고 있는데 오른쪽 폐는 우상엽, 우중엽, 우하엽의 세 부분으로, 왼쪽폐는 좌상엽과 좌하엽 두 부분으로 나뉜다.

정의
폐에서 기인한 악성 종양
폐에서 기인한 악성 종양
원인
• 흡연
· 폐암의 약 85%가
흡연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 폐암의 발생 위험 13배 증가
· 장기간의 간접흡연 시 폐암의
발생 위험 1.5배 증가
· 같은 정도로 흡연에 노출되었다면
남자보다 여자가 폐암 발생 확률
1.5배 증가
• 흡연 외의 원인
· 석면, 라돈, 비소, 카드뮴,
니켈 등의 금속 방사선에
오래 노출된 경우
· 화석연료의 연소와 쓰레기 및
폐기물의 불완전 연소 시
발생하는 가스
· 폐섬유증
· 방사선 노출
• 흡연
· 폐암의 약 85%가
흡연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 폐암의 발생 위험 13배 증가
· 장기간의 간접흡연 시 폐암의
발생 위험 1.5배 증가
· 같은 정도로 흡연에 노출되었다면
남자보다 여자가 폐암 발생 확률
1.5배 증가
• 흡연 외의 원인
· 석면, 라돈, 비소, 카드뮴,
니켈 등의 금속 방사선에
오래 노출된 경우
· 화석연료의 연소와 쓰레기 및
폐기물의 불완전 연소 시
발생하는 가스
· 폐섬유증
· 방사선 노출
증상
• 진행된 폐암이라도
증상이 없는 경우 흔함
• 기침, 객혈, 가슴통증, 호흡곤란
• 쉰 목소리
(암세포가 발성에 관여하는 신경을 침범한 경우)신경을 침범한 경우)
• 어깨 통증, 팔의 안쪽 부위 통증
(폐의 꼭대기 부위에 암세포가 위치한 경우)위치한 경우)
• 진행된 폐암이라도
증상이 없는 경우 흔함
• 기침, 객혈, 가슴통증, 호흡곤란
• 쉰 목소리
(암세포가 발성에 관여하는 신경을 침범한 경우)신경을 침범한 경우)
• 어깨 통증, 팔의 안쪽 부위 통증
(폐의 꼭대기 부위에 암세포가 위치한 경우)위치한 경우)
검사
• 초기 검사
· 가슴 부위의 X선 촬영
· 조영제를 사용한
전산화 단층촬영(CT):
폐는 물론 간, 부신,
림프절 등 폐암이
흔히 전이되는 부위의
단면 영상 확인
·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CT),
뇌 자기공명영상(MRI)
촬영촬영
· 뼈 스캔(bone scan) :
임파절 및 원격전이
유무 판별
• 조직 검사
· 경피적 미세침 흡인
검사:검사:
암세포의 위치에 따라
X선 촬영이나 CT를 보며
피부를 통해 가느다란
침을 찔러 넣어
암세포가 있는 조직을
얻는 방법
· 기관지 내시경
· 세포진 검사 :
가래를 뱉어서 시행
· 진단적 수술 :
조직검사로
세포 발견을 못하였으나
폐암 가능성이 높은 경우
수술적 절제를 통한
진단 및 치료 시행
• 수술 평가
폐기능 검사,
폐관류 스캔,
운동부하 폐기능 검사등
• 초기 검사
· 가슴 부위의 X선 촬영
· 조영제를 사용한
전산화 단층촬영(CT):
폐는 물론 간, 부신,
림프절 등 폐암이
흔히 전이되는 부위의
단면 영상 확인
·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CT),
뇌 자기공명영상(MRI)
촬영촬영
· 뼈 스캔(bone scan) :
임파절 및 원격전이
유무 판별
• 조직 검사
· 경피적 미세침 흡인
검사:검사:
암세포의 위치에 따라
X선 촬영이나 CT를 보며
피부를 통해 가느다란
침을 찔러 넣어
암세포가 있는 조직을
얻는 방법
· 기관지 내시경
· 세포진 검사 :
가래를 뱉어서 시행
· 진단적 수술 :
조직검사로
세포 발견을 못하였으나
폐암 가능성이 높은 경우
수술적 절제를 통한
진단 및 치료 시행
• 수술 평가
폐기능 검사,
폐관류 스캔,
운동부하 폐기능 검사등
치료
• 1기 · 2기
· 수술로 암세포를 모두 절제
· 다른 질환 때문에 수술이
불가능할 경우 방사선 치료
• 3기
·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화학요법의
다양한 조합으로 치료
• 4기
· 전신 상태가 양호한 환자는
항암화학요법
· 증상 완화를 위한 방사선 치료
· 표적 치료제
• 1기 · 2기
· 수술로 암세포를 모두 절제
· 다른 질환 때문에 수술이
불가능할 경우 방사선 치료
• 3기
·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화학요법의
다양한 조합으로 치료
• 4기
· 전신 상태가 양호한 환자는
항암화학요법
· 증상 완화를 위한 방사선 치료
· 표적 치료제
수술
폐암 초기에는
수술로 완치가 가능하지만
실제로 폐암 환자의 1/4 이하에서만
수술을 시행하게 된다.
절제하는
폐 구역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전폐 절제술 :
한쪽 폐를 전부 절제하는 수술법.
폐암이 주기관지를 침범한 경우
• 폐엽 절제술 :
폐엽 단위로 폐를 절제하는 수술
• 쐐기 절제술 :
병변이 있는 적은 범위의 폐조직을
경계를 두고 절제하는 수술 방법
• 분절 절제술 :
기관지 폐 구역 단위로
폐를 절제하는 수술.
폐엽 절제술보다는 절제 범위가
작고 쐐기 절제술보다는
범위가 넓다.
폐암 초기에는
수술로 완치가 가능하지만
실제로 폐암 환자의 1/4 이하에서만
수술을 시행하게 된다.
절제하는
폐 구역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전폐 절제술 :
한쪽 폐를 전부 절제하는 수술법.
폐암이 주기관지를 침범한 경우
• 폐엽 절제술 :
폐엽 단위로 폐를 절제하는 수술
• 쐐기 절제술 :
병변이 있는 적은 범위의 폐조직을
경계를 두고 절제하는 수술 방법
• 분절 절제술 :
기관지 폐 구역 단위로
폐를 절제하는 수술.
폐엽 절제술보다는 절제 범위가
작고 쐐기 절제술보다는
범위가 넓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