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센터 소개 |

고도로
전문화된
재활의료
서비스와
뇌병변 및 신경
재활치료에
특성화된
대전충청권역
의료재활센터

대전충청권역 의료재활센터와 같은 ‘권역재활병원’은 재활전문병원 및 재활형 요양병원과의 경쟁구도를 지양하며, 재활치료의 장기목표를 설정하고 검사와 시술 위주의 진료, 향후 치료계획 수립 등의 역할을 맡고 있다. 아울러 장기요양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는 재활치료를 최첨단 장비와 시설을 이용하여 단기간의 고강도 집중 전문재활서비스로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08-05-14| 대전권역 재활병원사업기관 선정
2010-04-01| 대전충청권역 의료재활센터 기공식
2012-12-17| 외래진료 개시
2012-12-24| 250병동, 260병동 입원진료 개시
2013-04-10| 대전충청권역 의료재활센터 개소식
2014-09-01| 270병동 입원진료 개시
2014-09-15| 소아 낮 병동 개소

사진

2013년 4월 10일 개원

보건복지부에서는 2008년 공공보건의료 확충 종합대책사업의 일환으로 권역별 재활병원을 건립하여 재활의료 서비스를 구축하고자 6개 권역(강원, 경인, 대전·충청, 영남, 제주)에 권역재활병원 설립을 추진하였다.
이에 따라 충남대학교병원의 ‘대전충청권역 의료재활센터’는 2008년 5월 14일 ‘대전권역 재활병원 사업기관’으로 선정되고, 2009년 7월에 대전충청지역 류마티스 및 퇴행성 관절염센터로 선정되어 2010년 4월 1일 두 기관의 착공을 시작하여 마침내 2012년 12월 17일 첫 진료를 했다.
당시 지하 3층, 지상 7층 규모로 총 152병상의 재활의학병상을 갖추고 ‘의학발전을 선도하는 인간 중심병원’을 비전으로 ‘고도로 전문화된 재활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 ‘뇌병변 및 신경 재활치료에 특성화된 병원’을 목표로 정하고, 다양한 의료재활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뇌졸중 및 뇌손상 재활클리닉과 척수손상재활클리닉을 비롯한 발 통증 및 신발 클리닉, 심장호흡재활클리닉, 연하장애클리닉, 근골격계 재활클리닉 등의 11개 클리닉으로 구성된 국내 최대 규모의 재활의학과 전문병원으로서 재활의학적 평가와 치료에 필요한 시설과 로봇보행치료실, 수중재활운동치료실 등 재활의료의 기반도 갖췄다.

단기간의 고강도 집중 전문재활서비스 제공

대전충청권역 의료재활센터와 같은 ‘권역재활병원’은 재활전문병원 및 재활형 요양병원과의 경쟁구도를 지양하며, 재활치료의 장기목표를 설정하고 검사와 시술 위주의 진료, 향후 치료계획 수립 등의 역할을 맡고 있다. 아울러 장기요양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는 재활치료를 최첨단 장비와 시설을 이용하여 단기간의 고강도 집중 전문재활서비스로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재활의료의 중추적 역할로서 전문화된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최신 재활의료시설뿐만 아니라, 재활의학 전문의와 전공의, 물리·작업·언어치료사, 의지보조기사, 임상심리사, 재활간호사, 사회복지사 등으로 구성된 포괄의료진이 전문적인 지식과 열정으로 재활치료에 임하고 있다.

사진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하는 재활치료 개발

대전충청권역 의료재활센터는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하기 위한 노력도 지속적으로 기울였다. 2016년에 미국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UDSMR)이 주관하는 성인용 독립기능평가(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와 소아용 독립기능평가(Pediatric Function Independence Measure, weeFIM)에서 인증을 받았다. 아울러 2017년에는 100병상 이상인 재활센터 중에서는 국내 최초로 국제적인 재활의료시설 인증기구인 CARF(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Rehabilitation Facilities)로부터 입원 재활 프로그램에 대하여 3년 인증을 획득했다. 이 두 가지 사실은 모두 의료재활센터가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하는 클래스임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전충청권역 의료재활센터는 앞으로도 기존의 재활체계에서 보다 앞서나가 표준화된 재활치료 개발과 더불어 치료 후 가정과 사회로의 복귀를 위한 공공재활 활성화 등을 위해서도 더욱더 노력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 장애인을 위한 장애인 건강보건의료 및 재활의료 사업에도 관여하여 권역재활센터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사진

사진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