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1
내분비대사내과
김현진 교수
노년층에서 더 높은 발병률
당뇨병
생활 수준의 향상과 의료의 발달로 우리나라도 전 인구에 대한 고령인구 비율이 2014년에 12.7%에 도달하였으며, 2026년에는 20%를 넘어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당뇨병은 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질병이며 그 빈도도 연령 증가와 함께 높아지고 있다. 2020년 당뇨병학회에서 발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12~2018)를 이용한 당뇨병 팩트시트에 의하면 65세 이상의 인구에서 당뇨병의 유병률이 27.6%(남자 27.7%, 여자 27.5%)이며,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당뇨병의 진단
당뇨병의 진단은 혈장포도당 수치를 기준으로 하며, 국내에서도 미국당뇨병학회나 세계당뇨병연 맹과 동일한 아래와 같은 진단 기준을 사용한다.
① 8시간 이상 금식 후 채혈한 공복 혈장포도당 126mg/dL 이상 또는
② 75g 경구포도당부하검사에서 2시간 혈장포도당 200mg/dL 이상 또는
③ 당화혈색소 (HbA1c)가 6.5% 이상 또는
④ 당뇨병의 전형적인 증상(다뇨, 다음, 체중감소)이 있으면서 무작위 혈장포도당 200mg/ dL 이상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내당능이 저하되므로 노인의 진단 기준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으나, 아직까지는 성인의 진단기준을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노인은 식후고혈당만 보이는 경우가 많고, 공복혈장포도당만으로 선별 검사를 하면 당뇨병을 진단하지 못하는 경우가 흔하므로 경구포도당부하검사가 고려되어야 한다.
임상적 특성
노인 당뇨병 환자에서는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뇌졸중 등과 같은 동반질환 및 노인증후군(다약제 복용, 우울증, 인지기능장애, 요실금, 낙상, 통증 등)과 관련된 여러 기능장애가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다. 이러한 질환이나 장애의 동반여부에 따라 노인에서의 당뇨병은 매우 다양한 특성을 보인다. 노인에서 발생하는 당뇨병은 다음, 다뇨, 체중감소와 같은 전형적인 당뇨병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비전형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서 임상 양상만으로 진단하기가 매우 어렵고 백내장, 급성심근경색증, 뇌졸중, 고혈당성 고삼투성 상태 등과 같은 합병증으로 진단되기도 한다. 노인 당뇨병 환자는 정상 혈당의 노인에 비해 사망률이 2배, 하지절단 위험도가 10배로 증가된다고 보고된다. 또한 신질환이나 고칼륨혈증, 당뇨병성 망막증에 의한 실명의 빈도도 굉장히 높다. 신경계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도 젊은 당뇨병환자에 비해서 훨씬 높고, 당뇨병성 근육위축증이나 당뇨병성 신경병증성 악액질증도 주로 노인 당뇨병환자에서 나타난다.
당뇨병의 치료와 관리
치료 원칙과 목표는 고혈당에 의한 증상 발생을 예방하고, 여생 동안 합병증 발생 및 진행을 예방하여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혈당과 함께,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을 동시에 관리해야 하며, 반드시 환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치료 목표를 개별화하고, 치료에 의한 부작용이나 합병증 발생도 고려해야 한다. 인지기능에 문제가 없고 활동적이며 기대 여명이 긴 경우에는 청·장년의 경우와 같이 철저한 혈당 조절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진행된 당뇨병 합병증을 가지고 있거나, 기대 여명이 얼마 남지 않았거나, 심각한 인지 기능장애 또는 기능장애를 가지고 있는 경우라면 혈당조절 목표를 덜 엄격하게 잡는 것이 필요하다. 환자의 생활습관 개선이 혈당 조절 및 당뇨병 관리에 필수적이므로 교육을 통해 환자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식습관, 운동, 약물 복용이 가능하도록 해야 하며, 저혈당 예방 및 처치, 자가혈당측정, 아픈 날의 관리 등에 대한 교육을 해야 한다.
식사요법의 경우 당뇨병 교육을 통해 쉽게 이해가 되도록 설명하고 가족도 참석시켜 적절한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데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섭취열량과 지방, 단백질, 당질, 비타민 등의 영양소 배분을 고려해야 하며, 치아상태, 소화장애 등도 고려되어야 한다. 운동요법은 혈당을 낮추는데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체지방 감소, 혈압 감소, 이상지질 혈증 개선, 자신감 함양 등의 효과가 있으므로, 자신에게 알맞은 운동을 선택하여 꾸준히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 골관절 손상, 저혈당, 심혈관질환에 의한 돌연사 등의 위험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예방법을 알리는 것도 필요하다. 경구약제 및 인슐린 식사요법은 운동요법과 함께 당뇨병 치료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환자의 질병 상태뿐만 아니라 인지능, 가족 도움 등을 고려하여 처방되어야 하며 환자는 복용법과 부작용 등을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