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칼럼 더하기 1

일상 복귀를 위한 유방암 재활

재활의학과 복수경 교수

암의 치료 후에 생존기간이 길어지면서 암이 만성질환으로 여겨지고 있는 요즘, 암 자체나 암 치료 중에 마비, 통증, 감각저하 등의 신체증상이 발생하면 이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암재활이 필요하다. 나아가 암 치료가 잘될 수 있도록 지지와 완화를 해 주고, 암으로 인해 손실된 기능을 최대한으로 회복해 암환자가 사회와 가정에 복귀하도록 돕는다. 유방암의 경우 림프부종의 예방과 치료, 어깨통증의 완화와 관절범위 증가 등이 재활치료 대상에 해당된다. 일상 복귀를 위한 유방암 재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암재활이 필요한 이유

암재활은 암 진단부터, 암 치료 중, 암 치료완료 후, 암 생존시기에 필요하고, 이 시기에 맞게 암으로 인한 기능 소실을 최소화하며, 생존기간을 연장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뇌종양 환자의 경우는 운동기능과 인지기능을 회복시켜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하게 하며, 유방암 환자에게는 림프부종의 예방과 치료, 어깨통증의 완화와 관절범위 증가 등이 재활치료 대상에 해당된다. 폐암 환자는 수술 전후에 호흡재활을 하여 기능회복을 증가시킨다.
암환자 중에 빈혈이 심하거나 백혈구와 혈소판의 감소로 감염과 출혈의 위험성이 크면 암재활을 주의해야 한다. 또한 다발성 골전이, 뇌압의 증가, 전해질이 불균형, 기립성 저혈압, 심박수가 110회 이상이거나 38도 이상의 고열 등이 있는 환자는 재활치료보다는 안정을 취하는 것이 좋다.

유방암의 재활

유방암 환자에서 재활이 우선 필요한 환자는 림프부종이 발생한 경우, 어깨 관절의 통증과 운동제한이 있는 경우, 수술 부위와 상하지에 신경성 통증이 있는 경우, 전반적으로 피로와 근력 약화가 있는 경우 등이다. 유방암 수술 후에 림프부종이 발생한 경우에는 2~6주간 집중적인 재활치료를 하고, 그 이후에는 유지치료를 진행한다. 집중적 치료에는 도수림프배출법(마사지), 압박요법(붕대, 스타킹, 공기압박치료), 운동 및 피부관리 등의 복합림프물리치료를 시행하고, 그 이후에는 림프부종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피하면서 부종을 관리한다. 유방암 수술 후에 어깨통증과 관절구축에는 약물과 물리치료(열치료, 전기치료), 운동치료(스트레칭과 어깨관절 주위근 강화운동)를 시행하고, 증상에 호전이 없으면 관절 내 스테로이드 혹은 히루안산 주사를 치료를 진행한다.

암재활 시 유의할 점

암환자를 치료할 때는 전반적인 신체증상인 통증, 피로감, 관절구축 등을 해결해 주고, 기능을 회복시켜서 암환자가 가정과 사회에 복귀하도록 하는 데 가장 염두를 두고 있다. 림프부종이 발생한 팔에는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바늘과 벌레 등에 의해 상처가 나지 않게 하고, 부종의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심한 운동을 하지 않으며, 사우나 혹은 족욕 등도 피하는 것이 좋다.
암은 치료기술의 발전으로 생존기간이 늘어나면서 더 이상 불치병이 아닌 만성질환으로 여겨지고 있다. 암을 극복하기 위해 수술치료, 항암치료, 방사선치료, 면역치료 등 최선을 다해 치료에 임하면 충분히 일상을 회복할 수 있다. 사진

사진

상지 림프부종 마사지 ※각 순서를 5~10회씩 반복합니다.

경부와 체간 마사지
경부와 체간 마사지
팔 마사지
팔 마사지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