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08

테마 진료실 3

가정의학과 윤석준 교수

자주 어지러운데 빈혈인가요?

가정의학 전문의와 함께

쪼그려 앉아 있거나 누워 있다가 일어섰을 때 머리가 핑 돌며 어지럽다. 이런 현기증이 잦다면 분명 몸이 보내오는 이상신호다. 가장 먼저 드는 의심은 바로 빈혈. 하지만 어지럽다고 해서 다 빈혈은 아니다. 또 같은 빈혈이라도 원인은 모두 다를 수 있다. 빈혈에 대한 궁금증을 가정의학 전문의와 함께 풀어본다.

어지럼증을 자주 느끼면 빈혈인가요?

건강 검진을 받으신 분들에게 결과에 대해 설명 드리면서 ‘빈혈은 없습니다’라고 말씀드리면 ‘전 자주 어지러운데 빈혈은 없나요?’라고 물어보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지럼증이 빈혈의 증상 중 하나인 것은 맞지만, 어지럼증의 원인은 빈혈 뿐 아니라 귀 안의 평형을 담당하는 부분의 이상, 뇌의 이상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또한, 빈혈로 인한 증상이 생기려면 혈색소(빈혈 수치)가 일정 수치 이하로 떨어져야 하고, 오래 동안 빈혈이 있던 경우에는 느끼는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빈혈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빈혈의 원인 중 가장 흔한 것은 철결핍빈혈과 만성질환빈혈입니다. 철결핍빈혈은 철분이 부족해 생기는 빈혈인데, 소아나 임산부에서는 철분에 대한 요구량이 증가하여 생기게 되고, 그 외 연령에서는 실혈(어딘가로 피가 새서)에 의해 생기게 됩니다.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등 상부위장관의 출혈, 대장암으로 인한 하부위장관의 출혈, 과다한 월경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만성질환빈혈은 만성 감염, 만성 염증, 신부전, 악성 종양 등이 있는 경우에 적혈구 생성이 억제되어 나타납니다. 이 2가지 이외에도 위 수술 후의 빈혈, 골수의 이상에 의한 빈혈, 용혈성 빈혈 등이 빈혈의 원인입니다.

사진
사진 가장 흔한 철겹필빈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모유 수유만 한 유아, 임산부의 경우 철분의 보충이 필요합니다.
성장이 급격히 이루어져 철분의 요구량이 많아지는 사춘기의 경우 야채, 육류, 유제품을 포함하는 균형 잡힌 식단이 필요합니다. 사진

장기나 조혈모세포이식에서 어떤 종류의 HLA 검사를 시행하나요?

보통 운동을 많이 해서라기보다는 먹는 것을 많이 줄여서 단기간에 체중을 급격하게 줄일 때를 무리한 다이어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식사량을 줄이면서 운동량을 늘리는 정상적인 다이어트의 경우에는 체중 변화가 서서히 일어나기 때문에 신체의 균형이 유지되어 빈혈이 생기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먹는 것을 많이 줄여서 다이어트를 하게 되면 철분의 부족, 비타민 B12, 엽산 등 미량 영양소의 부족으로 인해 빈혈이 생기게 됩니다.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필요한 영양소들을 챙기면서 식사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빈혈의 예방과 치료법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빈혈이 있는 경우에는 혈액 검사를 통해 어떤 종류의 빈혈인지 먼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원인에 맞추어 빈혈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들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장 흔한 철겹필빈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모유 수유만 한 유아, 임산부의 경우 철분의 보충이 필요합니다. 성장이 급격히 이루어져 철분의 요구량이 많아지는 사춘기의 경우 야채, 육류, 유제품을 포함하는 균형 잡힌 식단이 필요합니다. 그 외 연령의 경우 철 부족의 원인이 되는 출혈 병소를 찾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진

신경과 오응석 교수

가정의학과 윤석준 교수

| 전문분야 |

건강증진, 비만, 음주, 피로, 금연

| 진료일정 |

본관    오전 | 월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