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품격·고난도 암수술_자궁암, 난소암 ●
자궁암, 난소암
알면 이길 수 있다
정의부터 증상·검사·
치료법까지 자궁암, 난소암에 대해 궁금한 모든 것.
정의부터 증상·검사·
치료법까지 자궁암, 난소암에 대해
궁금한 모든 것.
자궁경부암 정의
자궁의 입구인
자궁경부에 생긴 악성종양
자궁의 입구인
자궁경부에 생긴 악성종양
원인
• 성 접촉에 의한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
(자궁경부암 환자 99.7% 이상에서 발견)
• 고위험군 바이러스를 보유한 사람과의
성접촉
• 흡연(흡연 여성이 자궁경부암에
걸릴 위험이 1.5~2.3배가량 높음)
• 연령(30세~),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HIV), 클라미디어 감염 등
• 성 접촉에 의한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
(자궁경부암 환자 99.7% 이상에서 발견)
• 고위험군 바이러스를 보유한 사람과의
성접촉
• 흡연(흡연 여성이 자궁경부암에
걸릴 위험이 1.5~2.3배가량 높음)
• 연령(30세~),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HIV), 클라미디어 감염 등
원인
• 성 접촉에 의한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
(자궁경부암 환자 99.7%
이상에서 발견)
• 고위험군 바이러스를
보유한 사람과의 성접촉
• 흡연
(흡연 여성이 자궁경부암에
걸릴 위험이 1.5~2.3배가량
높음)
• 연령(30세~),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클라미디어 감염 등
• 성 접촉에 의한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
(자궁경부암 환자 99.7%
이상에서 발견)
• 고위험군 바이러스를
보유한 사람과의 성접촉
• 흡연
(흡연 여성이 자궁경부암에
걸릴 위험이 1.5~2.3배가량
높음)
• 연령(30세~),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클라미디어 감염 등
증상
• 비정상적인 질 출혈
• 질 분비물 증가
• 골반통, 요통
• 배뇨곤란, 혈뇨, 직장 출혈, 변비 등
• 비정상적인 질 출혈
• 질 분비물 증가
• 골반통, 요통
• 배뇨곤란, 혈뇨, 직장 출혈, 변비 등
증상
• 비정상적인 질 출혈
• 질 분비물 증가
• 골반통, 요통
• 배뇨곤란, 혈뇨, 직장 출혈,
변비 등
• 비정상적인 질 출혈
• 질 분비물 증가
• 골반통, 요통
• 배뇨곤란, 혈뇨, 직장 출혈,
변비 등
검사
• 자궁경부세포검사(조기 검진)
• 조직검사 확진 시 신체 검진, 원추절제술,
방사선·내시경 검사, CT, MRI 등으로
진행 정도 확인
• 자궁경부세포검사(조기 검진)
• 조직검사 확진 시 신체 검진, 원추절제술,
방사선·내시경 검사, CT, MRI 등으로
진행 정도 확인
검사
• 자궁경부세포검사
(조기 검진)
• 조직검사 확진 시 신체 검진,
원추절제술,
방사선·내시경 검사, CT,
MRI 등으로진행 정도 확인
• 자궁경부세포검사
(조기 검진)
• 조직검사 확진 시 신체 검진,
원추절제술,
방사선·내시경 검사, CT,
MRI 등으로진행 정도 확인
치료
• 1기 초 :자궁경부원추절제술,
단순자궁절제술
• 1기 중반~2기 초 :광범위자궁경부절제술,
광범위자궁절제술, 골반림프절절제술
• 2기 말~ :동시화학방사선요법
• 1기 초 :자궁경부원추절제술,
단순자궁절제술
• 1기 중반~2기 초 :광범위자궁경부절제술,
광범위자궁절제술, 골반림프절절제술
• 2기 말~ :동시화학방사선요법
치료
• 1기 초 :자궁경부원추절제술,
단순자궁절제술
• 1기 중반~2기 초 :
광범위자궁경부절제술,
광범위자궁절제술,
골반림프절절제술
• 2기 말~ :
동시화학방사선요법
• 1기 초 :자궁경부원추절제술,
단순자궁절제술
• 1기 중반~2기 초 :
광범위자궁경부절제술,
광범위자궁절제술,
골반림프절절제술
• 2기 말~ :
동시화학방사선요법
자궁내막암(자궁체막암) 정의
자궁 안쪽 자궁내막에
비정상적인 세포로 이루어진 암
자궁 안쪽 자궁내막에
비정상적인 세포로 이루어진 암
자궁내막암(자궁체막암)
정의
자궁 안쪽 자궁내막에
비정상적인 세포로 이루어진 암
정의
자궁 안쪽 자궁내막에
비정상적인 세포로 이루어진 암
원인
• 비정형 자궁내막증식증
• 비만, 외인성 에스트로겐 투여,
과거 유방암 환자 등
• 비정형 자궁내막증식증
• 비만, 외인성 에스트로겐 투여,
과거 유방암 환자 등
증상
자궁경부암과 동일
자궁경부암과 동일
검사
• 암이 의심될 경우
자궁내막소파술, 자궁경을 통해
자궁내막 조직검사를 함으로써 확진
• CT, MRI 등을 이용해
암의 진행상황 파악
• 암이 의심될 경우
자궁내막소파술, 자궁경을 통해
자궁내막 조직검사를 함으로써 확진
• CT, MRI 등을 이용해
암의 진행상황 파악
검사
• 암이 의심될 경우
자궁내막소파술, 자궁경을 통해
자궁내막 조직검사를 함으로써
확진
• CT, MRI 등을 이용해
암의 진행상황 파악
• 암이 의심될 경우
자궁내막소파술, 자궁경을 통해
자궁내막 조직검사를 함으로써
확진
• CT, MRI 등을 이용해
암의 진행상황 파악
치료
• 1~2기 :호르몬 치료, 전자궁절제술,
양측난소난관절제술, 림프절절제술,
방사선 치료
• 3~4기 :전자궁절제술,
양측난소난관절제술, 림프절절제술,
전이부위절제술, 방사선치료 또는
항암화학요법
• 1~2기 :호르몬 치료, 전자궁절제술,
양측난소난관절제술, 림프절절제술,
방사선 치료
• 3~4기 :전자궁절제술,
양측난소난관절제술, 림프절절제술,
전이부위절제술, 방사선치료 또는
항암화학요법
치료
• 1~2기 :
호르몬 치료, 전자궁절제술,
양측난소난관절제술,
림프절절제술, 방사선 치료
• 3~4기 :
전자궁절제술,
양측난소난관절제술,
림프절절제술, 전이부위절제술,
방사선치료 또는 항암화학요법
• 1~2기 :
호르몬 치료, 전자궁절제술,
양측난소난관절제술,
림프절절제술, 방사선 치료
• 3~4기 :
전자궁절제술,
양측난소난관절제술,
림프절절제술, 전이부위절제술,
방사선치료 또는 항암화학요법
정의
난소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
난소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
원인
원인이 정확히 밝혀진 바 없음
위험인자
- 본인 혹은 직계 가족 2명 이상에서
난소암(약 5~10%), 유방암,
자궁내막암, 직장암이
복합적으로 발생하였을 경우
- 유방암(본인이 유방암일 경우
난소암에 걸릴 가능성 2배 높아짐),
대장암 진단을 받은 여성의 경우
- 고지방·고단백 식품을
섭취하는 식습관, 비만,
환경적 유발 물질 노출 등
원인이 정확히 밝혀진 바 없음
위험인자
- 본인 혹은 직계 가족 2명 이상에서
난소암(약 5~10%), 유방암,
자궁내막암, 직장암이
복합적으로 발생하였을 경우
- 유방암(본인이 유방암일 경우
난소암에 걸릴 가능성 2배 높아짐),
대장암 진단을 받은 여성의 경우
- 고지방·고단백 식품을
섭취하는 식습관, 비만,
환경적 유발 물질 노출 등
원인
원인이 정확히 밝혀진 바 없음
위험인자
- 본인 혹은 직계 가족
2명 이상에서
난소암(약 5~10%), 유방암,
자궁내막암, 직장암이
복합적으로 발생하였을 경우
- 유방암(본인이 유방암일
경우 난소암에 걸릴
가능성 2배 높아짐),
대장암 진단을 받은
여성의 경우
- 고지방·고단백 식품을
섭취하는 식습관, 비만,
환경적 유발 물질 노출 등
원인이 정확히 밝혀진 바 없음
위험인자
- 본인 혹은 직계 가족
2명 이상에서
난소암(약 5~10%), 유방암,
자궁내막암, 직장암이
복합적으로 발생하였을 경우
- 유방암(본인이 유방암일
경우 난소암에 걸릴
가능성 2배 높아짐),
대장암 진단을 받은
여성의 경우
- 고지방·고단백 식품을
섭취하는 식습관, 비만,
환경적 유발 물질 노출 등
증상
• 초기 증상이 없어 검사·검진 시
우연히 발견됨
• 복수에 의한 복부팽창, 복부통증,
잦은 소변, 변비 등
• 초기 증상이 없어 검사·검진 시
우연히 발견됨
• 복수에 의한 복부팽창, 복부통증,
잦은 소변, 변비 등
증상
• 초기 증상이 없어 검사·
검진 시 우연히 발견됨
• 복수에 의한 복부팽창,
복부통증, 잦은 소변, 변비 등
• 초기 증상이 없어 검사·
검진 시 우연히 발견됨
• 복수에 의한 복부팽창,
복부통증, 잦은 소변, 변비 등
검사
• 질식 초음파로 난소 종양의
모양, 크기를 확인
• 종양에 민감성을 가진
종양표지자 검사를 시행
• 암의 진행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영상진단, 내시경 검사 등 시행
• 질식 초음파로 난소 종양의
모양, 크기를 확인
• 종양에 민감성을 가진
종양표지자 검사를 시행
• 암의 진행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영상진단, 내시경 검사 등 시행
치료
• 1기 초반 :
양쪽 난소난관절제술,
전자궁절제술(추후 임신을 계획할
경우 한쪽 난소, 자궁을 보전할 수
있는지 확인 후 절제 결정),
림프절절제술
• 1기 후반 :
- 전자궁절제술 및 양측 난관,
난소절제술, 림프절절제술
- 전이된 부분의 종양 제거
- 항암화학요법 치료
• 1기 초반 :
양쪽 난소난관절제술,
전자궁절제술(추후 임신을 계획할
경우 한쪽 난소, 자궁을 보전할 수
있는지 확인 후 절제 결정),
림프절절제술
• 1기 후반 :
- 전자궁절제술 및 양측 난관,
난소절제술, 림프절절제술
- 전이된 부분의 종양 제거
- 항암화학요법 치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