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INSIGHT

사진

불운의 연속이던 젋음에게 어쩌면 생의 마지막 순간이 될 장면을 작가는 이토록 담담하고 차분한 어조로 풀어내고 있다. <검은꽃>은 김영하 작가의 대표적인 장편소설로 대한제국이 서서히 사라져가던 1905년 멕시코로 일자리를 찾아 떠난 한국인들의 실제 이민사를 바탕으로 한 소설이다. 자칫 민족 수난사를 그린 감상적인 소설로 보일 수 있지만 작가의 객관적이고 냉철한 필치를 따라가다 보면 불운에 맞서는 인간의 이기심과 냉정함, 자기중심적인 모습을 적나라하게 마주하게 된다.

가장 힘 없는 나라 사람들의 인생 경영

<검은 꽃>은 대한제국이 “물에 떨어진 잉크방울처럼 서서히 사라져가”고 있던 1905년, 좋은 일자리와 미래가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안고 멕시코로 떠난 한국인들의 실제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장편소설이다. 김영하 작가는 이 소설을 쓰기 위해 멕시코와 과테말라로 떠나 자료를 모으고 현지를 답사한 후, 그곳에서 머물며 집필을 시작했다. 검은꽃은 식민지 역사를 배경으로 하지만 일견 등장인물을 막연한 동정의 대상으로 묘사하는 감상주의적인 민족 수난사와는 성격이 다른 소설이다. 불운의 시대에서도 등장인물들은 하나같이 자신만의 방법으로 시대와 맞서고 또 질주한다. 그래서 작가의 거침없는 필치를 따라가다 보면 그동안 머릿속에 맴돌았던 옳고 그름, 선과 악에 대한 선입견과 고정관념이 붕괴하는 것을 발견한다. 봉건과 근대가 부딪치고, 토착 신앙과 외래 종교가 갈등하며, 신분과 계급이 무너지고, 국가와 개인의 관계가 허물어지는 상황에서 과연 인간이 살기 위해 필요한 절대적 조건이 무엇인지에 대해 사유하게 된다. 아니, 어쩌면 절대적 조건 같은 건 처음부터 없었는지도 모른다. 책을 읽다 보면 ‘그저 인간은 오늘을 살아야 할 존재일 뿐인가’라는 생각까지 닿는다.

“누가 먹을 것을 주거든 백을 세고 먹어라. 그리고 누가 네가 가진 것을 사려고 하거든 네 머릿속에 떠오른 값의 두 배를 말해라. 그러면 누구도 너를 멸시하지 않는다. 소년은 그렇게 하려고 했지만 그럴 일이 별로 없었다. 먹을 것을 주는 이도 없었고 가진 것을 사겠다는 자도 없었다. 선교사가 눈을 크게 떴다. 배고프지 않으냐? 소년의 입이 달싹거렸다. 여든둘, 여든셋, 여든넷. 더 이상은 무리였다. 소년은 향긋한 건포도 머핀을 집어 들고 입안에 쑤셔 넣기 시작했다.”

모든 것을 잃어버린 인간들이 생존과 존엄성을 위해 투쟁하는 세계를 그리는 김영하의 묘사는 객관적이고 냉철하며 아이러니로 가득 차 있다. 때로 유머러스하기까지 하다. 어조는 담담하지만 이야기들은 용광로처럼 뜨겁다. 이렇듯 간결하고 담백한 문체, 뚜렷한 중심인물 없이 다양한 인물들을 따라가며 전개되는 모자이크식 구성은 그 자체로 이 소설의 지향점이 민족 수난사의 감상주의적 제시가 아니라, 불운과 맞서 싸우지만 끝내는 패배할 수밖에 없는 인간의 운명을 드러내는 데 있음을 보여준다. 작가는 한 인터뷰에서 ‘검은 꽃’이라는 제목에 관해 이렇게 이야기한 바 있다. “검은 꽃은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꽃이에요. 검은색은 모든 색이 섞여야지만 가능한 유일한 색으로 남녀노소, 계층, 문화, 인종을 뛰어넘는 그 무엇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죠. 그런 의미에서 꽃이라는 것은 유토피아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고 봐야겠죠.”

내 소설 중 단 한 권만 추천한다면 <검은꽃>

김영하 작가 스스로 “만약 내 소설 중 단 한 권만 읽어야 한다면 바로 <검은꽃>이다”고 밝힐 만큼 그의 대표작으로 지금까지 50쇄 넘게 중쇄를 거듭할 만큼 독자들의 꾸준한 지지와 사랑을 받아왔다. 동인문학상 수상 당시 “가장 약한 나라의 가장 힘없는 사람들의 인생 경영을 강렬하게 그린 작품”이라는 평을 받기도 했다.사진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