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칼럼 더하기 1

발병률 세계 3위 ‘만성콩팥병’
위험인자를 확인하자!

신장내과 나기량 교수

과거에 만성신부전으로 일컬어 오던 용어는 현재 만성콩팥병으로 개정되었다. 신부전이라는 용어 자체가 만성콩팥병의 전체적인 진행 과정을 설명하기에는 부적절하고, 신장기능이 완전히 망가져서 말기 상태라는 부정적인 의미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신대체 치료를 받는 만성콩팥병 환자가 127,068명으로, 전 세계에서 대만과 미국 다음으로 3위에 해당할 정도로 발병률이 높은 질환이다. 대개 초기의 만성콩팥병은 특별한 증상이 없으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혈액 검사, 소변 검사, 신장초음파 등이 필요하다. 치료를 위해서 원인이 되는 기저질환 치료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만성콩팥병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인자가 있다면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성콩팥병의 정의와 투석 현황

만성콩팥병은 크게 두 가지 기준으로 정의된다. 사구체여과율과 상관없이 신장손상의 표식자로 생각되는 증거가 3개월 이상 지속될 경우, 혹은 사구체 여과율이 지속적으로 3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60㎖/min 이하로 감소되어 있는 경우다. 2021년 대한신장학회 등록사업의 자료에 따르면, 신대체 치료를 받는 전체 환자의 수는 혈액투석이 99,198명, 복막투석이 5,610명, 신장이식이 22,260명에 이른다. 국내에서는 불행히도 신대체 치료를 받는 만성콩팥병 환자의 신환이 127,068명으로, 전 세계에서 대만과 미국 다음으로 3위에 해당한다.

만성콩팥병의 증상과 진단

대개 초기의 만성콩팥병은 특별한 증상이 없다. 신장의 거름기능을 나타내는 지표인 사구체 여과율이 60% 이하로 감소하면서부터 증상이 일부 나타나기 시작해 30% 이하로 감소하면 대부분 부종, 고혈압, 피로감, 어지럼증, 식욕 부진, 오심, 구토, 호흡 곤란, 암모니아향의 구취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만성콩팥병을 확정 진단하기 위한 주요 검사 방법은 세 가지가 있다. 첫째, 혈액을 검사하여 혈청 요소질소(BUN), 크레아티닌 농도를 확인함으로써 사구체 여과율을 측정한다. 둘째, 소변 검사를 통해 단백뇨와 혈뇨의 유무를 평가한다. 셋째, 신장초음파를 통해 신장의 크기 및 신장실질의 경도나 요관폐색여부를 나타내는 수신증 여부 등을 검사한다.

만성콩팥병의 치료

만성콩팥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우선적인 것은 만성콩팥병의 원인이 되는 기저질환을 치료하는 데에 있다. 고혈압이 원인 질환일 경우엔 수축기-이완기 혈압을 140㎜Hg~90㎜Hg 이하로 조절한다(단, 단백뇨가 중증도 이상이라면 130㎜Hg~80㎜Hg 이하). 당뇨가 있다면 혈당 조절이 필요하며, 사구체신염일 경우 각 사구체신염의 원인 질환에 따른 치료가 이뤄진다. 다음은 신기능을 저하하는 악화 인자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악화 인자 중 가장 중요하고 흔한 것으로 신기능 저하의 가장 흔한 원인인 설사, 구토, 출혈 등 탈수를 일으키는 상황을 적극적으로 예방하거나 치료해야 한다. 둘째로 신기능을 악화시키는 신독성 약물은 먹지 않거나 줄이거나 간헐적으로 복용하는 등 적절하게 조정해야 하며 신기능의 정도에 따라 담당 의사와의 긴밀한 상의가 필요하다. 요관의 폐색이 확인될 경우 그에 맞는 치료를 시행하고, 감기나 폐렴 등의 감염성 질환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이외에 신기능 악화에 따른 합병증(고지혈증, 빈혈, 고인산혈증, 고요산혈증, 대사성산증 등)을 치료 및 관리하는 것도 만성콩팥병을 치료하는 방법의 하나다.

만성콩팥병의 예방

만성콩팥병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인자(당뇨병, 고혈압, 사구체신염, 비만, 통풍, 심장병, 60대 이상의 고령, 만성 간질환, 과거 급성 신손상의 병력)가 있는 사람의 경우 증상이 없더라도 정기적으로 신장 기능 검사를 반드시 시행한다(소변·혈액 검사, 1년에 1~2회 이상). 성분을 알 수 없는 약물이나 약제 복용은 신중을 기하고 여러 종류의 약제를 복합적으로 먹을 경우 약물 간 상호작용에 대해 의사나 약사와 상담을 한다. 비만해지지 않도록 식생활 개선(저칼로리, 저염 등)과 적절한 운동을 병행하고, 특히 단백뇨가 있는 환자는 저단백식이를 생활화하는 것도 만성콩팥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사진

[그림] 만성콩팥병 3대 원인 질환의 연도별 변화 추이
사진

만성콩팥병의 원인이 되는 질환은 크게 당뇨병(DM), 고혈압(HTN), 사구체신염(CGN)으로, 이같은 3대 질환이 투석 환자의 70% 정도를 차지한다. 이외에 유전성 신질환, 약물, 통풍, 간질성신장염, 요로폐색증, 결석 및 반복성요로감염 등도 원인 질환으로 꼽힌다.
※출처: 대한신장학회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