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에서의 하루
환자중심 의료·고객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소개합니다.
글+사진 편집실 | 도움말 사회사업팀 권지현 팀장 | 사진협조 사회사업팀 이현진, 김정순 자원봉사자
병원 자원봉사활동,
누구나 할 수 있을까?
충남대학교병원에는 약 350명의 자원봉사자가 자발적인 참여로 병원 곳곳에서 활동하고 있다. 주요 건물 입구나 무인수납기 앞에서 고객들에게 위치를 알려주거나 수납방법을 설명하고, 원내 도서관에서 책 대출·반납 업무를 하기도 한다. 입원환자 목욕과 이미용 봉사같은 보다 난이도가 높은 일에도 참여할 수 있다. 그렇다면 누구나 병원에서 봉사활동을 할 수 있을까? 자원봉사활동 모집부터 교육, 배치, 상담 등을 맡고 있는 사회사업팀을 찾아 봉사활동 참여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01
첫 번째, 충남대학교병원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하고 싶다면 가장 먼저 방문 또는 문의(042-280-7106, 8016)해야 할 곳이 노인센터(2번 건물) 2층에 위치한 공공보건의료사업실 사회사업팀이다. 자원봉사활동을 희망하는 사람은 이곳에서 사회복지사와 상담을 나눈 후 매주 1회(하루 3시간 이상) 이상 최소 6개월 동안 규칙적으로 활동 할 수 있는지를 먼저 스스로 점검해 보게 된다.
사회사업팀 Q&A
봉사활동을 할 수 있는 기준이 따로 있나요?
통상적으로는 60세 이하(봉사활동 시작연령 기준)로 제한을 두고 있어요. 그 밖에 다른 제한은 없지만 봉사활동이라는게 순수한 본인의 의지인 만큼 꾸준히 약속된 시간에 봉사를 할 수 있어야 하고 심신이 건강하면 됩니다.

02
두 번째, 상담을 마친 후에는 ‘자원봉사활동 신청서’를 쓰게 된다. 충남대학교병원의 자원봉사자로 공식 등록되는 과정이다. 주차권 등 봉사활동에 필요한 기본적인 지원과 봉사자의 활동 실적을 등록하기 위한 기초서류로 사용된다. 충남대학교병원은 행정자치부에서 운영하는 ‘1365자원봉사포털시스템(www.1365.go.kr)’ 사용 인증등록기관으로서 자원봉사자의 활동실적을 등록해 주고있다.

03
세 번째, 봉사활동을 시작하기 전에 꼭 거쳐야할 절차가 하나 있다. 자원봉사자는 1년에 한 번 실시하는 ‘자원봉사자 정기교육 주간’(3월 마지막 주 실시)에 참여하거나 기본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이때 자원봉사활동을 위한 기본숙지 사항을 익히고 자원봉사자의 자세 등을 짚어보는 시간을 갖는다.

본관 1층에서 실제 자원봉사 중인 김정순 자원봉사자
04
네 번째, 앞의 과정을 통해 봉사활동이 시작된다. 자원봉사자의 결원이 생긴 분야나 본인이 지원한 봉사활동 분야에 각각 배치된 봉사자들은 가장 먼저 사회사업팀 사무실 바로 옆에 위치한 자원봉사실에 들러서 활동준비를 하게 된다. 이곳에서 자원봉사자 유니폼으로 갈아입고 사물함에 옷과 소지품을 보관한다. 조금 서둘러 병원에 왔다면 차도 한 잔 마시면서 봉사시간까지 대기할 수 있다. 자원봉사자실에 비치된 개인 활동일지에는 이미 본인의 이름이 표시된 일지도 준비돼 있을 것이다. 앞으로 활동일지에 날짜와 시간을 빼곡히 채워나가면서 본인의 누적활동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 적힌 내용대로 앞서 말한 1365자원봉사포털에 활동실적이 등록된다.
사회사업팀 Q&A
봉사활동에는 주로 어떤 분들이 참여하나요?
가장 많이 참여하시는 분들이 50대 이상의 중년분들이세요. 바쁜 청년 시절을 보내고 조금 여유로울 때, 집에만 있기보다는 “좀 더 의미있는 일을 하고 싶다” “남을 돕고 싶다”는 생각으로 많이들 찾아오시지요. 방학 때는 중고등학생들이 단기간 봉사활동에 참여하기 위해 병원을 찾고, 직장인과 대학생도 짬을 내서 봉사활동을 한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