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중심 명품진료_ 응급센터 의료진

위급한 순간, 소중한 생명을 살리는
응급센터 의료진
잘 갖춰진 응급의료시스템을 제대로 돌아가게 하는 힘은 바로 응급센터 의료진들에게 있다. 촉각을 다투는 심혈관 환자, 즉각적인 장기보조가 필요한 중환자를 비롯한 다양한 유형의 중증외상 및 중독 환자 등 위급한 생명을 살리는 손, 충남대학교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 의료진들(응급의학과)을 만나본다.

김승환 교수
응급센터 과밀화로 환자들의 대기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환자상태의 경중을 파악해 경환자에게는 진료시간이 지연될 수 있음을 미리 알리고 중환자부터 치료를 하게 됩니다. 또한 사전에 119소방본부에 연락해 응급환자 분산 협조를 구하는 방법으로 과밀화와 대기시간을 줄이고 있습니다.
전문분야 중독응급, 소아응급

유 승 교수
(권역응급의료센터 소장)
응급센터는 진료시스템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영하느냐가 중요합니다. 충남대학교병원이 도입한 호출 프로그램은 환자 긴급호출 시 일정 시간 내 의료진이 도착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재 호출이 되는 방식으로, 환자 체류시간을 최대한 줄여 중증환자가 더욱 빠른 치료나 수술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전문분야 중환자관리, 응급영상

이진웅 교수(과장)
급박하게 돌아가는 응급센터에서 환자들이 담당 간호사와 주치의를 판단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응급센터는 주치의, 진료·검사 과정 등이 적혀있는 전광판을 설치해 누구나 쉽게 담당의를 알 수 있게 했고, 확실한 책임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습니다.
전문분야 심혈관응급, EMS

유연호 교수
충남대학교병원 응급센터는 기도유지기, 호흡보조장치, 순환보조장치 및 저체온요법 실행을 위한 장비 등 장기보조가 필요한 중환자를 위한 장비를 완벽하게 갖추고 있습니다.
전문분야 응급술기, 저체온치료

조용철 교수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환자별로 각 진료과에 즉시 협진을 요청해서 환자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응급실에서부터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전문분야 중증외상, EMS

정원준 교수
응급중독환자 중 소아환자의 경우 이물질을 삼켰을 때 그것을 제거할 수 있는 능력은 대전에서 충남대학교병원이 유일합니다. 이때 소아청소년과와 협진해 치료가 이뤄집니다.
전문분야 응급영상, 소생술

조성욱 교수
응급센터는 주로 오전10시부터 오후 10시까지 12시간동안 전체 환자의 70%가 내원하고 있습니다. 이때 인력을 추가로 투입해 보다 신속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전문분야 응급술기, 환경응급

주기혁 교수
심혈관질환 환자의 경우 신속한 치료는 생명과 직결됩니다. 따라서 처음 응급환자 분류 시에 심혈관 질환으로 의심 되면 지체 없이 해당과의 전문 진료가 이루어지게끔 패스트트랙 시스템 등을 갖추고 있습니다.
전문분야 중증외상, 응급술기

이준완 교수
중환자는 빠르고 정확한 치료가 생명과 직결되기 때문에 집중치료가 필요합니다. 응급중환자실에서는 중환자 전문 전담의 및 간호사들이 24시간 집중치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전문분야 중환자관리, 중증외상,
저체온요법,
기계적순환보조